-
-
마지막 정육점
김도연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1월
평점 :
#1. 작가의
음모
작가는 매우 능수능란한 사람이다. 한
마디로 선수다. 작가 소개로 나온 사진이나 저간의 매체들과의 인터뷰 기사를 보면 어딘지 어수룩하고 순박하기까지 해
보이지만..
허름한 옷을 입고 설렁 설렁 걸어다니다
누군가 시비를 걸어와도 허허 웃어주고, 정면으로 도전하는 자를 우습게 제압해버리는 무당파의 고수같은 느낌인 것이다.
몇명 아닌 작품 속 사람들을 시간과 공간을
엮듯 교묘하게 엮어내며 무언지 모를 현란한 손동작과 씨줄 날줄의 꼬임이 '이래도 되나?' 싶을 정도로 들쑥 날쑥해 보인다.
도대체 이게 뭐야..싶어질 때, 보란듯이
펼쳐지는 진경산수화같은 커다란 그림을 어찌 이길 수 있겠는가 말이다.
키우는 개에게까지 자신의 작품을
읽어주었다는 일화를 읽었다. 이 정도면 거의 궁극의 도에 이르렀다고 하지 않을 이유가 없지 않은가?
작가의 공력이 100 이라면 보통 그의
작품에 50을 불어넣기도 여간한 일이 아니라고 들었다. 이 책을 읽으며 작품의 공력이 100은 넘어 보이는데..그렇담 작가의 공력은 어느정도란
말인가..
처음의 몇 부분은 자의로 읽어낼 수
있었다.
그 후는 작가의 음모에 휘말려, 주인공들과
공간과 시간의 결계 속을 헤매게 된다. 도무지 빠져 나올 수 없는 방진 속에 발을 넣은 셈이다.
처음 보는 초식은 아님에도, 다음 초식이
무엇일지 짐작하고 방어해보지만 고수는 그 짐작을 피해 회심의 일격을 살포시 날리곤 한다.
읽어내다 보니 화딱지가 날
지경이었다.
도대체 정체가 무엇인데..이렇게 사람을 별
힘 안들이고 돌리고 있으며 반항할 의지마저 생기지 못하게 할 수 있는가..하고 말이다.
마지막 순간까지..나는 작가의 늘어진 옷깃
하나도 잡아채지 못했다. 완패인 것이다.
#2. 마지막 정육점 -
여기가 마지막인것이 분명하냐고?
도식과 옥자 우연과 종욱과 은실
신혼여행을 떠난 그 날 사고를 당하는
도식과 옥자..그들은 시공간을 맴돈다. 생각이 머문 곳으로 생각이 멈춘 때로 그렇게 옮겨 다니며 사람들을 만나고 그들의 이야기를 보고
듣는다.
옥자를 피해 달아나는데 온 정신과 힘을
쏟는 도식, 도식을 놓치지 않으려는 옥자..그들은 죽어서까지 추격전을 멈추지 않는다.
이 지긋지긋한 사랑을 어찌하면 좋단
말인가.
그러려니 할 수도 있다..도식은 나이트클럽
웨이터다. 옥자는 미장원 종업원이다. 그럴 수 있겠다.
도식은 승복을 입고 불자의 길을 걷기로
한 사람이다. 옥자는 예쁜 친구를 이용하여 도식에게 겁탈 당할 계획을 세운다. 그럴 수 있을까?
옥자의 계획에 휘말려 하룻밤을 지낸 도식,
기억조차 없는 그 밤을 지우고 싶다. 옥자는 지우고 싶지 않다. 도식에겐 없던 일이고 싶다. 옥자는 없어질 수 없는
일이다.
이 징글맞은 사랑이 우여곡절을 겪으며
죽음을 넘어 그렇게 만나질 수 밖에 없던 사연을 찾아 떠돌게 된다.
어쩌면 업일지도, 어쩌면 풀지 못한
화두일지도 모를 이 둘의 입을 통해 눈을 통해 마음을 통해 보여지고 느껴지는 것들이 그대로 현실이거나 현실이 아니다.
사랑도, 인연도, 만남도, 시작과 끝도,
잃음과 얻음도 사실일까?
그들은 과연 죽었을까?
이야기 속은 미로처럼 꿈결처럼 펼쳐진다.
흩어진 조각들을 멀리서부터 끌어모아 하나씩 맞추어 나가야 한다.
그래야 보이게 되는 그들의
가족사진...
월정거리에서 시작해 다시 월정거리로
마무리가 되는 작품 ..
누군가 야무지게 묶어놓은 실타래 처럼..그
끝을 찾아 손끝으로 한참을 훑으며 따라왔더니 만나게 되는 처음의 그 매듭.
그 매듭이 처음의 그 매듭이
맞는걸까?
#3.
그래서..
책을 읽는 동안 여러번 앞으로 돌아가곤
했다. 작가는 퍼즐 조각을 밖으로 던져두고 하나씩 끌어다 모으길 바란 것 같으나..나는 한자리에 모아놓고 재배치를 하고
있었다.
도무지 관계가 풀리지 않는 느낌이었다
.뭐가 막힌거지? 뭐가 꼬인거지?를 몇번이고 되짚어 보았다. 사실 그럴 필요도 없었지만, 오기였고 심통이었을것이다. 첫 시작을 그렇게 고생을
시키더니 이 엄청난 책은 그 다음부터는 멀미가 나게 달리기 시작했다.
임철우의 황천기담도 슬쩍 들여다 본것
같고, 야마시로 아사코의 엠브리오 기담도 슬쩍 지나쳐간것 같다. 심지어 닥터 후의 '타디스'의 동양판, 아니 강릉판인가? 싶기도
했다.
그러나..전혀 달랐다.
앞서 말하지 않았는가. 작가는 능수능란한
선수였던 것이다.
비슷해보이지만 실제로 하나도 비슷하지 않은
이야기를 꺼내 놓는 이 오묘함은 아마도 오랜 시간을 곰삭힌 그의 펜에서 나왔으리라.
마지막 장을 덮으며
애잔했다.
애잔하다는 말 이외에는 딱히 떠오르지
않았다. 한껏 달아올라 절정을 지나 차분히 내쉬는 숨처럼..그리고 까마득하게 잊는 것처럼..없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사실은 없는 그런
경험.
그 찰나를 사는 우리들의 닮은 모습들일지도
모르는 일이다.
나와 닮은 사람, 그러나 전혀 다른 사람.
어떤 인연과 시간의 터널을 되짚어 돌아가 보면 한번은 만날 법도 한 사람.
이야기가 찰지다는건 바로 이런 것이지
싶다.
찰진 이야기..이해가 안되는 척하며 자꾸
펼쳐보는 옥자와 도식의 '그'장면..나는 그렇게 오래도록 이 책을 놓지 않으려 했다.
오롯이 읽는 이의 삶에 투영되어 속살거릴
이야기가 여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