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다 - 김영하의 인사이트 아웃사이트 김영하 산문 삼부작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9월
평점 :
절판


보다 ⁃ see ⁃ 見

 

 

김영하의 글에 대한 소문과 평은 내가 알고 있는 몇 안 되는 작가들 중 높은 순위에 속한다. 그의 책들은 늘 출간되기 전부터 기대감에 차 있었고, 출간 후엔 환호의 대상이 되곤 했다. 반작용이었을까, 어쩌면 대다수의 사람들의 열광에 끼고 싶지 않다는 졸렬한 마음이 작용했는지도 모른다. 그의 책을 사 놓고 읽지 않는다. 한창훈의 책을 사자마자 훌훌 읽어버리는 것에 비하면 이건 일종의 작가에 대한 모독일지도 모르는 행위이다.

그런 식으로 별것도 아닌 독자가 벌이는 무례한 모독을 견뎌야 하는 작가가 하나 더 있다.

하루키. 어쩌면 김영하도 하루키도 과한 열광의 전조들과 들쑤심(?)이 없었다면 나는 그들의 글을 좀 더 호감을 가지고 볼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아니 적어도, ‘얼마나 대단하길래 그래?’ 라는 삐딱한 시선으로 읽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거다. 어쨌든 각도를 잘못 잡은 탓에 그들의 글은 늘 대단치 않은 무엇으로 결론 내려지곤 했다.

 

 

김영하의 글을 꼼꼼히 읽은 처음은 ‘살인자의 기억법’이었다. 늘 삐딱한 시선으로 그의 글을 마주한 탓에 그의 글들은 늘 심드렁했고 그 심드렁함은 살인자의 기억법을 읽을 즈음엔 별 기대가 없었으며 덕분에 삐딱하게 설정된 시선은 각도를 잃었다. 편견없이 읽어내릴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살인자의 기억법을 아주 빨리 읽었다. 그렇게 읽고 나서 멍한 상태로 며칠을 지냈다.

‘내가 뭘 본거지?’ 내가 본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혼란이 생겼고, 그것이 김영하의 글이란 것을 떠올리며 나는 그를 다시 ‘보게’ 되었다.

 

 

김영하의 글들을 찬찬히 다시 되짚어 읽으며 생각한다. 이 사람은 ‘잘 보는’사람이구나. 그래서 ‘잘 쓸 수 있는’사람이구나. 본다는 것이 그저 눈앞에 펼쳐지는 것들에 작위적인 시선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펼쳐져 있는 사물, 혹은 사건, 사람의 틈을 읽어내는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보여지는 전면의 모습이 전부가 아니라는 걸 경험으로 익히 알고 있지만, 전부가 아니라면 그 이면에 품고 있는 의미나 음모는 도대체 무엇인가에 대한 반문 또한 없었던 나의 “봄”은 얼마나 근시안적 인가를 확인하고 만다.

 

시간과 공간과 사람과 사건의 틈새에 놓여진 생각들을 작가는 잘도 찾아낸다.

 

어릴 적 문방구에 가면 조잡하고 싼 조립식 장난감들을 살 수 있었다. 오빠들이 그것을 조립하는 과정을 구경하는 건 정말 신기하기 짝이 없는 일이었다. 그게 부러워서 나는 그들의 손의 움직임과 조립의 과정을 눈이 빠지게 살폈다. 어쩐지 나도 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렇게 열심히 “보았”으니까 말이다. 다음 날 나도 문방구에 가서 조립식 장난감을 하나 샀다. 레지스탕스의 비밀 지령문을 펼치듯 조심스레 뚜껑을 열고 비닐을 뜯고 네모난 플라스틱 구조물 사이에 매달린 부품들을 잘라냈다. 무슨 모양인지 하나도 알 수 없었지만, 하나씩 잘라내어 주르륵 펼쳐두고 조립도를 보며 맞추어가기 시작했다. 하지만 나는 그 작업을 성공하지 못했다. 영민하지 못했던 탓일 수도 있으나, 자꾸 어제 “본”것들이 헷갈리기 시작했던 것이다. 그렇다고 그것을 오빠들에게 물을 수도 없는 노릇이었다.

왜냐하면, 내가 본 것에 대한 비웃음이나 조롱이 따라올 것이 분명했기 때문이었다. 어려도 자존심은 있었으니까.

 

본다는 건 단순히 정보를 수집하는 행위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는 걸, 나는 아마 그 때 배운것 같다.

정보를 수집하고 자신의 머릿속에서 자신의 방식으로 재조립하고 적당한 온도를 유지시켜 새롭게 만들어 내는 것. 그것이 “봄”의 완결이어야 한다는 것을 말이다.

 

작가는 [한 사회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눈으로 보고 귀로 듣는 데에서 좀더 나아가야 한다. 보고 들은 후에 그것에 대해 쓰거나 말하고, 그 글과 말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을 직접 접하지 않고서는, 다시 말해, 경험을 정리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타자와 대화하지 않는 다면, 보고 들은 것은 곧 허공으로 흩어져버린다]고 작가의 말에서 이야기 한다. 본다는 것은 개별화의 과정이 아닌, 타자화를 통해 확장되고 공유되어지는 결과물이 된다. 온전히 개인적 영역이라고 생각했던 ‘보는’ 것에 대한 새로운 정의다.

 

 

작가가 썼던 스물 여섯 개의 칼럼. 그 속에서 넓혀보기, 좁혀보기, 파고들기, 펼쳐두기가 이어진다. 또한 작가의 이야기가 그가 읽었던 책들의 이야기가 조밀하게 엮여서 마치 잘 짠 화문석처럼 펼쳐진다. 아, 김현영의 일러스트도 빼먹을 수 없다. 과장되거나 생략된 그림들, 강렬한 색채들 말 그대로 김영하의 [보다]에서 가능한 행위는 “보다” 뿐이 아닐까 생각되는 것이다.

 

 

문득 영화 아바타에서 한참의 여운을 주었던 인사말이 떠올랐다. “나는 당신을 봅니다. I see you". 시각적으로 본다는 의미가 아닌 상대를 이해하고 그 깊은 곳까지 존중한다는 의미를 담았던 것으로 기억되는 그 인사. 본다는 것이 행위적 의미 뿐 아니라 내밀한 의미의 확장이며 대상과 연결되는 고리가 된다는, 그래서 공통의 서사를 만들어 낼 시작이 된다는 것은 아니었을까.

 

결국, 김영하의 [보다]는 ‘보다’ 잘 ‘보기’ 위한 조언 같은 것이었나 ‘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