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대국의 경제학
글렌 허버드 & 팀 케인 지음, 김태훈 옮김 / 민음사 / 2014년 7월
평점 :
절판


# 1. 경제학


경제라는 말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된건 오래지 않은 일이다.

딱히 아쉽지 않았다는 말일 수도 있으나..그 반면 스스로를 경제의 주체라고 느끼지 못했다는 반증일 수도 있다.

경제, 특히나 국가의 경제라는 건 개인과 관계없이 저들의 메카니즘으로 굴러가는 것이고 저들의 규칙에 '나'라는 개인은 포함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막연한 불신때문인지도 모를일이다.

그러나, 언제부터인가 민감하게 반응하기 시작했다. 이 판세를 읽어내지 못하면 스스로 도태되거나 저들의 먹이가 되고 말것이라는 불안과 두려움이 엄습하기 시작한것이다.

항간에 나와있는 경제학서적들을 읽으면서 "도무지 무슨 소린지 알 수 없어.."라거나 "이런 이론까지 알아야해?"라는 반문을 수없이 하게 된다.

즉, 너무 전문적이거나 너무 어렵다는 말이다. 그렇지 않고 쉽게 쓰여진 경제학도서들은 멘토링처럼 시시콜콜하게 뻔한 이야기를 늘어놓으며 희망고문을 하곤 한다.

너무 어렵거나 너무 아쉽거나..이 상황에 경제학의 <총,균,쇠>라고 일컬어지는 책을 마주한다.

그 어마어마한 인류의 역사와 함께 되짚어볼 수 있을까? 기대를 갖는다.


#2. 경제의 문제


역사적으로 세계의 패권을 쥐었던 나라들의 본질은 군사력이나 지도력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즉 로마나 몽골의 정복전쟁은 본질적으로 경제의 문제였다는 관점이 흥미롭다.

위대한 지도자의 통솔력이나 군대의 전투력와 용맹함을 그 원인이라고 알고 있던 보통의 사람의 허를 찌르는 대목이 아닐 수 없다. 경제적인 부분을 틀어쥐고 그 규칙과 원리를 살피고 운용하는 것 또한 지도자의 역할이었다고 한다면, 분명 뛰어난 지도자였을게다. 하지만 순수하게 군사력과 통치력으로 패권을 쥐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단단한 오해라고 책은 말한다.

구체적 근거들을 제시하며 역사적으로 변형되거나 주요하게 작용하고 있는 경제원리들을 설명하고 있다

현시점에서 "미국"의 정치적 지위와 경제적 변화와 우려를 역사적인 고찰과 더불어 짚어낸다고 보면 참..걱정 많은 나라구나..싶어지기도 한다. 


4.로마의 폐허

5.중국의 보물

6.스페인의 지는 해

7.노예의 법칙 :오스만의 역설

8.일본의 개방

9.영국의 몰락

10.유럽:통일성과 다양성

11.꿈꾸는 캘리포니아

12.미국의 미래.


처음의 서론과 마지막부분을 제외하고 목차만으로도 그 흥미로움을 더한다.

주목받고 힘을 갖던 나라들. 그 나라들이 중심이 되는 시점과 몰락의 시점을 경제적인 언어와 구조의 풀이로 설명하고 있다.

딱딱하고 어려운 부분도 분명 있지만, 학창시절 배웠던 세계사의 흐름과 기억나는대로 연결해서 이해하며 하나의 커다란 경제연표를 만드는 기분으로 읽어내리는 것이 나름 재미있었다.



#3. 전문가는 아니지만.


다양한 책들을 읽으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전문적인 서적들은 감히 도전하기 어렵다.

그렇다고 쉽게 풀이된 책들은 너무 가볍거나 조금 읽다보면 그 속내를 읽어낼 수 있을만큼 내용이 얇다.

개개인별로 호불호가 분명히 있겠지만, 경제적인 구조와 규칙들이 이미 삶의 일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면, 또한 우리 사회의 중요한 축으로 작용하고 있다면 이에 대한 의문과 개념에 대한 이해는 있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너무 어렵지도 너무 쉽지도 않고..미처 헤아려보지 못한 기준점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목처럼 BALANCE가 잘 맞추어진 책이라는 느낌이다.


이제는 전문가가 아닐지라도..사회의 변화의 방향을 가늠해 보는 안목을 지니는 것 또한 중요하리라.

문제는..잘 모르는 용어들에 대한 개념정리. 그것을 하나씩 찾아가며 읽다보니 시간이 꽤 걸리긴 했다. 그래프를 읽어내는 것 또한 한참 걸리고..솔직히 어느 부분은 그냥 넘어가기도 했고..

그래도 막연한 고민과 불안이 아닌 자신만의 근거와 개념으로 대안을 읽어낼 수 있다면..큰 도움이 되리라는 생각이다.


경제적 불균형에서 오는 정치적 근간의 흔들림이나 양극화의 심화..구조 안에서 이익과 권력을 취하는 집단과 구조 밖으로 밀려나 소외되는 집단의 거리는 갈수록 멀어지고 깊어진다. 다만 미국의 문제라고 치부할 수 없는건, 이런 모습을 우리나라에서도 구조적 모순과 분배의 불평등이 심화되기 시작했고(이미 고질화되어졌고) 권력의 경제장악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문제는..균형이다. 

이 균형이 시장의 자율로 가능할 것인가. 균형의 근거를 무엇으로 둘 것인가. 역사적으로 드러난 증거들을 어떻게 분석하고 적용하여 오류를 바로잡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적잖이 되어진다.


쉽게 읽을 수는 있지만..결코 가볍지 않은..경제를 틀로 한 전문적 지식이 나열되어져있지만..누구나 읽어볼만한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표지를 벗기고..은빛 바탕에 적힌 <BALANCE>라는 글씨를 한참 들여다본다.

그래..균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