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동굴의 단서 Maths Quest 4
데이비드 글러버 지음, 어린이를 위한 수학교육연구회 옮김, 팀 허친슨 그림 / 주니어RHK(주니어랜덤) / 2014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들에게 "수학"이란 아무리 씹어도 잘 삼켜지지 않는 질긴 오징어 같은 것인지도 모를 일이다.

아직 여린 치아에 너무 질기고 생경한 것을 물려 놓고, 잘 씹어야 한다고, 참 맛있는거라고, 어른의 입맛을 강요하고 있는 건 아닐까? 

수학이란, 어쩌면 잘 놀기 위한 규칙을 배우는 과정일 수 있다. 계산력을 키우는 건 그 다음의 일이다.

사실 고난도의 계산이 아니라면 성능 좋은 계산기들도 많으니까 말이다. 추세도 계산기 사용으로 가고 있는 중이고..


MATHS QUEST!

수학 자체가 고급형 퀘스트가 되어버린 아이들에게 참 흥미로운 책이 찾아왔다.




보통의 동화처럼 주르륵 순서대로 읽어나가는 게 아니라 앞 뒤로 책을 넘겨가며 읽어내야 한다.

넘기게 되는 조건은, 문제풀이다. 페이지에서 요구하는 문제를 풀고 자신이 생각하는 답을 찾고 그 답이 제시하는 페이지로 넘어가는 구조다.


(보물 동굴의 단서 중)


생경한 구조는 아니다.

김영사에서도 이런 형식의 수학동화가 나왔었다."수학추리동화"라는 시리즈로 말이다.

문제는, 가독성이었다. 고학년들은 좀 읽어낼 수 있겠지만 저학년 친구들은 조금 지루할것도 같았다. 문장이 길고 "추리"라는 말에 걸맞게 생각해야 하는 부분도 있었으니 말이다.


(김영사 수학추리동화의 한페이지-참고)



보물을 찾아 떠나는 여행이다. 모험이다.

게임과 퀘스트에 익숙한 아이들에게 친숙한 제목과 이야기 구조가 흥미로웠다.

해적의 보물을 찾아서 떠나다니..


몇가지 문제는 앞 뒤고 넘기며 읽다보니 자칫 아이들이 귀찮아 할 수도 있겠구나 싶어졌다.

책 한 권을 반드시 한번에 읽어야 할 게 아니라면..나누어 읽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오늘은 첫번째 숫자 획득까지만!

그리고 숫자를 적어둔다. 그날 찾아간 페이지 수를 적어본다. 엄마와 같이 읽는다면 보상이 있어도 좋겠다.

작은 보상. 사탕 하나? (너무 작나?)

다음 날 두번 째 단서를 찾아나선다. 물론 책은 엄마가 잘 넣어둔다. 아이가 미리 보지 못하게..

두번째 단서를 찾아내고 퀘스트 보상이 나간다. 아이스크림? 

마지막 해적의 보물을 찾아내었을 때..파티를 연다. 피자파티? 


이렇게 한 번 읽고 나면, 그 다음엔 책을 낱장으로 분해해본다. 바닥에 펼쳐두고 처음부터 다시 단서를 찾아 나선다.

거실이 커다란 보물섬이 되는 것이다. 정답 페이지로 뛰어가 먼저 단서를 획득한다. 뭔가 스릴 있지 않은가?

초등 저학년의 자녀들이 집에 있다면 강력하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수학은 놀이다.

하나의 사물을 가지고 분석하고 분해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물을 어떤 규칙으로 사용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것이 수학이어야 한다. 주어진 것을 가지고 주어진 것만 하는게 아니라, 조금 다른, 조금 더 멋진(?)것을 해내고 싶은 욕심을 갖게 하는 것이다.

수학 점수가 낮은 아이들..어쩌면 그 아이들은 숫자와 노느라,혹은 화해 하느라 풀기를 거부하고 있는 건지도 모른다.

잘 씹히지 않는 오징어를 입속에서 불리고 있듯 말이다.


책의 마지막 부분에 친절한 페이지가 있다.



용어 설명.

이건 참 중요한 대목이다. 꼭 읽어보아야 할 것이기도 하고..


책을 받고 한참을 가지고 놀았다. 이야기 속에 수학을 억지로 끼워맞추는 책들이 꽤 있다.

이 책은 잘 놀기 좋은 책이다. 즉, 재미있어할 만한 책이라는 거다.

더하기 빼기가 틀려도, 생각을 잘 못 해도, 상관없다. 어쨌든..책을 다 읽고 말테니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