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켄슈타인의 작가가..그것도 1826년에 지구의 종말을 예     고하며 쓴  <종말문학>이라고 한다. 전염병이 번지고..단 한사   람이 살아남는다고 한다. 그 한사람의 의미는 무엇일까? 마지   막 희망? 인류의 미래? 여튼..그 의미가 무엇이든 몇가지의 단   어들이 뿜어내는 분위기는 긴장감과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이     분명하다. 그 오랜 시간 전에 지구의 종말을 어떻게 그렸을지     말이다. 그 때도 인간의 종말은 인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었을까? 그 때의 인간과 지금의 인간 군상의 차이는 있는것인   가?

   표면적인 차이가 아닌 본질적인 차이가..존재하는가..

  궁금해지는 대목이 아닐 수 없다.

  당신의 세계관과 사회관, 그리고 시대의 정황이 충분히 드러날 것 같은 기대는 1+1상품처럼 어느것이 본상품이고 사은품인지 알 수 없지만 기대된다.



  

















프랑켄슈타인..그의 존재성에 대한 물음..인간인가..아닌가..인간의 기준을 어떻게 둘 것인가에 대한 실존적 질문..혹은 자문..

전염병이라는 단어에서 연상되어지는 책들과 영화..최근의 것들을 위주로 생각해본다.



문제는 인간의 본성에 대한 물음일것일까?

이런 문제는 어떤가?

 조이스 캐럴 오츠 특유의 필법이 작용하는 글들이 저절로 떠오른다.



 











후의 인간..밑줄긋기의 한 대목이 가시처럼 눈에 박힌다.


P.401 : “지옥의 땅에서 얻어낸 사악한 씨앗이 존재하는 한, 이 땅이 결코 천국이 될 수 없다는 건 자명합니다. 계절이 모두 같아지고, 세상의 공기가 무질서를 낳지 않으며, 이 땅에 더 이상 가뭄과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우지 않게 된다면, 그때 비로소 질병이 사라질 겁니다. 인간의 욕망이 모두 죽어버리면, 그때 비로소 굶주림이 우리를 떠나게 될 거란 말입니다. 사랑이 증오와 더 이상 흡사하지 않게 되면 그때에야 비로소 인류애가 존재하게 될 거예요. 현재 우리는 그런 미래와 아주 많이 동떨어져 있어요.” 
―1권


주사위를 한 번 던져보자.

인류 최후의 그 날.."나는" 과연 "살아남을"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