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안도현님의 백석 평전이 항간에 화제다. 하긴 "백석"이라는 이름 앞에 가슴 떨리지 않을 사람이 몇이나 될까? 백석을 싫어한다면 그에 걸맞는 이유를 찾아 설득해야 할것이라고, 언젠가 들은 팟캐스트의 진행자는 말했다. 그가 좋다면 그 이유는 또한 무엇일까? 

백석의 시는 좋고 싫음, 즉 호불호의 선택이 가능하지 않다는 것. 그것이 주요한 내용일것이다.

백석의 노래. 그 절절하고 서늘한 노래를 논리적으로 거부할 수 있다면 그는 대단한 논리가일거라는 생각을 하게 한다.

교과서에서, 혹은 수능 언어영역에서 만나는 백석은 어렵고 힘들다. 하지만 시인 백석은 얼마나 로맨틱하며 또한 얼마나 아름다운 언어를 풀어 놓는지..






왜 하필 백석이었을까? 특별한 일은 아니다. 태풍이 온다고 했다. 귀여운 이름의 커다란 태풍이라고..

텅 비어있던 바다에 피항 온 배들로 꽉 차버리고, 시선은 멀리 나갈 엄두도 내지 못했다.

터덜거리며 걷는 방파제위에서 만난 하얀 돌맹이 하나.

먹구름이 잔뜩 낀 하늘, 노란 방파제 위에 덩그러니 놓인 흰 돌맹이 하나에서 나는 백석을 떠올린다.

온몸으로 바다를 느끼며 눅눅한 대기 속에서 저 홀로 노래를 부르는 저 당당한 돌맹이 하나에 온 마음을 빼앗긴다.


그러고 보면 내게도 백석의, 혹은 백석에 대한 책들이 몇권 있다.


















저렇게 멀끔하게 잘 생긴 청년의 시를 좋아하지 않을 수 없었나보다.

여름이다.

입 속으로 조용히 백석의 이름을 불러본다. 

어쩐지 눈발이 흩날릴것 같은 그의 이름을 말이다.

그와 같은 시대를 살았다면 어쩌면 나는 그의 사생팬(?)이 되었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하며 안도의 숨을 쉬어본다.

손에 잡힐 듯, 잡히지 않는, 잡을 수 없는..온전히 온 맘으로 귀를 기울여야 나즈막히 들려오는 그의 노래라서 이렇게 애절하고 쓰리고 아프고 애틋한가보다.

그의 사랑과 그의 노래.


어쩐지 속에 쌔한 바람 한가닥 부는 것 같으다. 어둑해진 하늘 아래 만난 흰 돌멩이의 파장은 생각보다 길다.

애써 웃음 지으며..여름 논의 아이들 웃음 소리를 떠올려본다.

백석의 이름을 부르기에 참 좋은 날이다.



   하답(夏畓)

 

 

 

   짝새가 발부리에서 일은 논두렁에서 아이들은 개구리의 뒷다리를 구워 먹었다

 

   게 구멍을 쑤시다 물큰하고 배암을 잡은 늪의 피같은 물이끼에 햇볕이 따가웠다

 

   돌다리에 앉아 날버들치를 먹고 몸을 말리는 아이들은 물총새가 되었다



  <사슴에서..>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나푸르나 2014-11-28 23:5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가난한 내가
아름다운 나타샤를 사랑해서
오늘밤에도
폭폭 눈이 내린다
.
.
백석평전을 읽기 전부터 좋아했던 시였다.
평전을 읽는 내내 모던한 백석을 만날 수 있어서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