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과 올해들어 유난히 저자 싸인본 책을 얻게(?)된다. 이벤트라는 명목으로..그 기간 안에 책을 구입하면 싸인본으로 보내준다는..그런 것들이었다.

김연수님의 싸인본, 김중혁, 은희경,정이현, 기타등등..

저자 싸인본이 그렇지 않은 책들과 남다르게 다른 것이 있다면..글쎄..한 번 더 저자의 손을 거쳤다는 것? 

저자의 싸인이 누구에게 보내지는 것인지 모른 채, 자신의 책을 벽처럼 두른 공간에서 무던하게 싸인을 하고 있을 저자들이 눈에 그려졌다. 행복할 수도, 고단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 그들의 넓고 깊은 아량으로 독자를 위해 무언가 하나 더의 의미를 주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 모습이 못내 고맙기도 안타깝기도 하다.


싸인회며 강연회며 낭독회..여기저기 후기들을 읽어보면..일단 체력적인 부담이 얼마나 클까? 싶기도 하다.


직접 내 이름과 혹은 닉네임을 적어 준 두 권이 책이 있다.

물론 택배로 받았지만..다른 싸인본보다 애착이 가는 것이 당연하겠다.


그런데 ..

어째서 싸인본이란 것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건지..때때로 몇권의 싸인본을 가지고 있다고 자랑삼아 드러내고..진심으로 부러워하기도 한다. 책을 살 때, 늘 안타까운건, 내가 내는 책값이 그들의 노력에 대한 정당한 댓가일까? 그들이 말린 피와 흘린 땀과 갉아먹은 영혼의 댓가로 정당하게 지불되고 있는걸까?를 생각한다. 오지랖일테지만..

그렇게 따지면..억만금을 줘도 책 한 권 사지 못할게 분명할게다. 그래도..가끔은 미안하고 그렇다.

좀 더 많은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서 가장 효율적인 마케팅이라서..? 아마 싸인본의 범람(?)이 일어나고 있는건 아닐까..작품을 마무리 하고, 자기 손을 떠난 작품과 적절한 이별을 작가는 했을까? 돌아올 소식들을 맘조리며 기다리는 것이 참 진빠지는 일인데..그만큼의 회복은 되어있는 것일까? 가끔 의문이 생기기도 한다. 


오늘..싸인본 하나를 받았다.

시원시원하게 적어내린 작가의 글씨. 그 성정이 보이는 것도 같다.

어쩐지 작가와 좀 더 가까운 느낌? 그, 혹은 그녀가 적어준 내 이름..이런 짜릿함? 


건방진 생각이겠지만..마케팅 과정에서 작가의 수고가 적어졌으면 좋겠다. 

책이 나오고..얼마 지나지 않아..싸인본 이벤트가 열리고..그러고 나면..낭독회 혹은 만남이 이어지고..그리고 나면 세일이 진행되고..그러다보면..품절,혹은 절판이 되고..이런 일들이 한순간에 이어진다고 느껴진다.

어쩌면 품절, 혹은 절판, 혹은 재쇄.(하, 재쇄가 시작되면 재쇄기념 뭔가를 하는 곳도 가끔 있더라..)까지가 작가의 몫일까?


독자를 만나고..그들과 호흡하고..그들의 응원을 받으며 기운을 차리기도 하겠지만..물리적으로 강행군은 아닌걸까? 자꾸 걱정이 된다. 쓰잘데기 없이.


싸인본..그것은 정말 특별한 의미였으면 좋겠다. 

치토스를 사면 나오는 팽이같은 것이 아니었으면 좋겠다.


싸인본 잘 받고..괜히 투정부린다. 나만 갖고 있는 책이고 싶나보다..이런 약아빠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