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한적한 시골에서 시내로 출퇴근을 하며 집,직장만을 오가는 남들은 지루하겠다고 혀를 차지만 나는 전혀 지루하지 않은 일상을 보내며 산다. 그렇게 오가는 시간과 비는 시간에 책을 읽다보면, 2,3일에 한권은 뚝딱 읽어내기도 하고, 때론 영 속도가 나지 않는 책을 만나, '그래서 어쩌라고? 어떻게 되는거냐고?'를 속으로 외치며 읽어대다보면 일주일을 훌쩍 넘기곤 한다.

일상이라는게 그렇다. 집에서 일을 하고, 나가서 일을 하고, 바보상자의 최면에 수긍해주다가 손전화에게 손과 눈을 모두 잡히기도 하고..그러다보면 책을 읽는 시간은 상대적으로 짧다. 게다가 아까 본 드라마의 장면과 겹치기라도 하면..삼천포로 빠지는 건 일도 아닌게 된다.
자연히 늦은 밤을 저당잡히게 되고, 그렇게 잠을 잃은 하루 하루가 쌓여 때때로 예민한 송곳같은 사람이 되기도 한다.
책을 읽는 외적 폐단이다.
늦은 밤, 식구들이 잠든 시간, 혼자 앉아 책을 읽는 건 때때로 외롭다. 책읽기란 외로운 작업이라고 했지만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 앞에 앉는 이유는 무엇일까?
나의 경우는 그렇다.
위로 받고 싶은 것, 해소하고 싶은 것, 즐겁고 싶은 것.
감상의 과잉이라는 불치의 습관을 갖고 있다보니..스스로에게 스스로가 치이고 상처받고 하는 일도 있고, 작고 사소한 일에 아파하기도 한다. 별것 아니라는 평가를 받는 일에도..나는 온전히 아파하곤 한다. 이런 생기다 만 성정을 치유하는 책들이 있다.

예를 들면..


























이런 책들..산문을 읽으며 호흡을 다스린다. 내 호흡의 결을 따라 글들이 오가는 것을 보고, 그 울림에 생각을 내려놓는다. 그렇게 떨림과 침잠의 시간은 위로와 치유를 내어준다.


때때로 이렇게 놀기도 한다.


 













이 두 권의 선택은 뗄래야 뗄 수 없는 조합이다.

 카미유 드 페레티는 조르주 페렉에게 아마 이 작품을 헌정하고 싶었을지도 모른다. 

그녀는 " 조르주 페렉의 <인생사용법>에 이행된 제약들을 이 소설에서 따르고자 한다고 밝힌다" 그리고 진행되는 이야기..

전체를 64개로 나누고 64개의 에피소드를 시간별로 배치하는 행마법을 사용한다

멋지지 않은가.

페렉의 글은 또 얼마나 기발하고 환상적인 배치와 내용의 구조를 갖고 있는지..페렉의 한 아파트의 이야기는 99개의 서로다른 장별 제목을 갖고 있고, 역시 체스의 행마법에 따라 서술해간다. 배경과 이야기가 하나의 거대한 퍼즐이 되어지는 묘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 두권의 책을 들고 오래도록 즐거웠다. 


때때로는 이런 것을 들고 즐거워 하기도 한다.


 시인의 질문에 혼자 대답하거나..그러게 그건 왜? 이렇게 같이 반문하며 시간을 보낸다. 많은 생각들과 대답들이 오가는 시간. 한 면에만 인쇄가 되어있는 책의 편집. 그래서..그 여백들을 이런 저런 대답으로 채운다. 아. 날짜를 적는다.

같은 질문에 시간이 지나며 달라지는 대답을 보며 내 의식의 흐름을 읽는다.

멋지지 않은가.










무슨 말을 하고 싶은거냐면..그러다보니..리뷰를 쓴다거나 하는 일에 방점을 찍지 않는다. 

서재를 드나들며 드는 생각 중 하나는..매일 처럼 리뷰를 쓰는 대단한 사람들이 참 많다는 것.

어떻게 그럴 수 있을까?

게을러터진 한량적 사고를 하는 나로서는 의문일 수 밖에 없다.


나의 책읽기는 다독도 아니고..정독도 아니고..그저 樂讀 이니 말이다.

대단한 사람들이 참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