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월의 거리 - 1980년대 2 생생 현대사 동화
남찬숙 지음, 김선배 그림 / 별숲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계엄이 선포되고 반년만에 새 정부를 기다린다.
6월은 어쩐지 뜨겁게 느껴진다. 4월 5월의 핏빛 죽음의 시간을 지나 잠시 숨을 고르는 시간..울다 잠시 숨을 고를 때 수많은 생각이 스친다. 나는 왜 울어야하나. 또는 나를 울게 한 슬픔의 정체를 마주한다. 유월은 내게 그런 텀처럼 느껴진다.

80년대 중반의 모습이 저절로 떠오르는 글이다. 아시안게임도 KK항쟁이라 불렸던 건국대투쟁도, 박종철의 죽음과 전두환의 호헌선언, 6.10 민주항쟁. 6.29선언.
이 모든 일들이 저절로 벌어지거나 우연히 일어난 것이 아니란걸 안다. 그럼에도 활자가 되어 눈으로 읽힐 때, 그 일들은 단순한 역사적 '사건'으로만 읽힌다. 매 순간에 숨이 되고 피가 되는 '사람'은 텍스트 밖으로 밀려나기 십상이다.
가르치는 아이들이 역사 시험을 볼 때, 근현대사가 범위이면 곧잘 정리를 해주곤 했다, 한국전쟁 이후의 사회변화와 정치적 격랑에 대해 이야기하다 보면 4.19를 시작으로 5.16군사정변과 12.12 군사쿠테타를 이야기 하게 된다. 더불어 광주민중항쟁을 이야기하게 된다. 군부의 자국민에 대한 학살을 이야기하며 독재체제의 잔혹함과 무자비함을 한껏(?) 정제해서 말하면서도 소위 피가 거꾸로 솟는다는 느낌을 받는다. 어째서인가. 4.19 민주항쟁으로 이승만을 끌어내렸지만 군부에게 빼앗긴 시간은 두려움과 열패감에 떨게 했다. 승리의 경험. 싸워서 이기는 경험이 필요했다. 목숨을 내놓고 싸우는 것이 당연했던 시절. 어떤 저항을 하든 구속될 것을, 오래도록 사회와 격리되어 붉은 글씨를 새긴 삶을 살게 될 것을 각오해야 했던 시절이었다
그럼에도 불씨는 살아남았다고 생각했다. 6월의 이야기를 하면 듣는 아이들이 집중했다. 내가 겪은 일들과 내가 본 일들과 내가 했던 일들에 대한 이야기였기에 그것은 텍스트에 갇힌 하나의 사건이 아니었다. 1987이라는 영화가 나왔을 때 아이들이 그랬다. 쌤! 쌤이 말한거 다 진짜였어요. 영화에 다 나오던데요. 라고..
박근혜의 국정농단으로 탄핵투쟁을 주말마다 이어갈 때 시위에 다녀온 아이들이 농담처럼 이야기했다.
저희가 자라서 어른되고 아이를 낳고 하면 그 애가 배울 역사에 이 이야기도 나오겠죠? 시험문제로 출제되겠죠? 라고..
개개의 삶 속에 갇힌 것은 역사가 아니다. 경순(고졸 취업)과 미숙(대학생)의 사회적 지위는 달랐지만 그들은 이웃이라는 고리를 통해 서로에 대한 깊은 이해가 있을 수 밖에 없다. 그것을 '정'이라고도 한다. 이익이 되는 관계인가 아닌가 하는 계산은 필요하지 않다. 믿고 지지해주는 힘. 그것은 나와 너를 가르지 않는 것에서부터 시작될 일이다. 미경이네와 경미네는 그런 관계였다. 그 관계의 확장이 그 해 6월 거리에서 명동에서 보여진 모습이다.
2024년 12월 얼토당토 않은 계엄이 발표되던 순간. 곧이곧대로 믿은 이들은 어쩌면 계엄을 선포한 일당들 뿐이었을거다.
믿을 수 없었고 믿어지지 않았다. 계엄은 곧 해제되었다.
그 후 수많은 시위와 투쟁이 뒤를 이었고 내란우두머리를 대통령 자리에서 끌어냈다.
아직 마무리 짓지 못한 내란 청산. 나는 승리의 기억을 조금씩 품은 국민들이 이길거라는 기대를 해 본다.
모든 역사는 과거를 그림자처럼 드리운 채 이어진다.
두려움이 깊고 슬픔과 고통이 깊을수록 그림자는 더 짙고 무겁다. 그림자는 나의 위치를 확인하는 기준이 된다.
해가 어디쯤 있는지를 확인하는 기준도 된다. 즉 나의 위치와 나갈 방향에 대한 지침이 되는 것이다. 나라가 알아서 해주는 것은 없다. 누구도 정치와 무관할 수 없다. 그림자가 없는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든 역사와 유관하며 정치와 유관하며 모순과 맞설 책임과 권리가 주어진다. 그것을 제대로 행사하는 이를 주인이라고 그것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는 사회를 민주주의라 한다.
민주주의를 이루는 과정은 지난한 역사의 결과일 수 밖에 없고 수없는 싸움의 결과일 수 밖에 없다. 점점 승리의 경험을 축적해가는 국민들은 이제 반동의 움직임에 덜 밀릴 힘을 갖게 된다.
유월의 거리. 그 거리를 지나 온 사람들의 맥에 함께 뛰고 있을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의 공기는 아직도 뜨겁다.

울컥거리는 대목이 좀 있었다. 어차피 독자의 몫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