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들의 시간 창비시선 494
김해자 지음 / 창비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니들이 뭘까? 너희들? 혹은 바늘? 이런 세속적인 생각에 잡혀있다가 드디어 표제작에서 '니'의 의미를 발견한다.

1
연해주에 사는 우데게족은
사람 동물 귀신 구분하지 않고 모두 '니'라 부른다는군요
과거와 현재와 미래 안에 깃든 모든 영혼을 니로 섬긴대요
(후략)

우데게족은 원래 연해주 원주민이다. 퉁구스계이며 흑수말갈의 후손이다. 이들은 발해를 영광스럽게 기억한다. 발해가 부족연합국가였기에 그들의 역사이기도 하며 우리의 역사이기도 한 것이다. 러시아로 편입되고 러시아의 지배가 시작되자 그들은 더더 먼 곳으로 이주를 한다.
어로문화를 가지고 있어서 연어가죽 옷을 입기도 한다.
우데게이라고도 불리우는 이들은 바다를 건너 숲으로 온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인디언의 집과 비슷한 '춤'이라는 것을 짓고 산다. 그 안에는 세벤(가신)을 둔다. 그들에게 집은 일상의 공간이자 신의 깃들어 사는 성소인셈이다.
신과 함께 사는 그들은 두려움이 없다. 하지만 세상 모든 것들, 호흡하거나 호흡하지 않는 것들에까지 깃들어있는 '니'. 경외함을 품고 감사하며 살아가는 것이 그들의 몫이다.
딱 기억이 나지 않는데 어디선가 우데게이 족의 한 풍습을 들었다. 필요한만큼만 가지고 가서 사용하는것. 그것을 어겼을 시에는 부족에서 추방당하는 것까지 감수해야한다고..
죽은자의 세상 부니를 연 사람들. 산 사람으로 죽은 사람까지 들여다보는 사람들 .

우데게의 '니'와 '너희'라는 '니'가 함께 뛰어다니는 시는 잠깐 생각을 다잡게 한다.
시 하나를 앞에두고 오래 전 읽었던 신화와 소설과 기타등등 떠오르는 것들이 난삽하게 뒤섞이고 있다.
우데게이를 이렇게 볼 것이라고는, 시 속에서 우데게이를 숨겨 둔 신탁처럼 만나게 될 것이라고는 짐작도 못했었으니까..

494번째 창비 시선.
494는 대칭수다 2와 13과 19.의 곱으로 구성된..대부분의 수가 그렇지만 약수의 합이 494의 두배보다 작은 부족수다.
우데게의 샤머니즘에 젖어든 탓인지 아무 하잘것 없는 것에도 자꾸 의미를 부여하고 싶다. 부족수인데 어쩌라고..

자연과 사람과 오염과 파괴와 미래와 연대 기억과 현실을 시 속에서 감각한다. 김해자의 시가 늘 그렇듯 찌르르 짜르르 혹은 훅 내려앉음 같은 느낌으로 감각된다. 무어라 설명하거나 어떤 것이라 말하기 전에 몸이 먼저 반응한다. 김해자의 시집마다 나는 '영험한 당골네의 비나리 같다'고 했다.
이번도 다르지 않다.
더 영험해졌다. 더 깊어졌고 더 넓어진 눈으로 더 멀리 본다.
더 큰 신이 왔나보다..

하..시 하나를 옮겨 적어볼라다 관둔다.
공수는 부정타지 않게 직접 받는게 맞으니까..

간만에 진득하게 시를 담았다. 잘 두었다 다시 읽으면 또 다른 맛일게 분명한 김해자의 시집 '니들의 시간'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