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 철학의 역사에서 필로소피아를 지혜 자체인 소피아와 확연히 구분하게 된 것은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영향 때문이다. 그것은 지자를 자처하는 소피스트의 출현과 이에 대한 비판의 과정에서 나온 산물이기도 하다. 하지만 필로소피아라는 말은 그 이전에도 사용되었으며 ‘끊임없이 탐구한다‘는 뜻을 갖고 있었다. 애지자란 끊임없는 탐구로 세상의 사물과 인간의 삶에서 의미를 포착해 자기 자신 및 타자와 소통하려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애지의철학은 즉각적 결실은 없어도 오랜 역사 속에서 인류의 삶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힘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필로소피아는 바로 과학적 탐구의 모체이다.
‘필로소피아와 에로스 사이의 이 모든 유사점 가운데서 그 어느것보다 중요한 것은 에로스의 활시위를 떠난 ‘사랑의 화살‘이 비가역적이듯이 애지의 과정 역시 되돌릴 수 없다는 사실이다. 

서구 사상에서는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철학을 어떻게정의하든, 그 본질은 필로소피아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물론 넓은 의미의 철학은 균형 있는 삶의 지혜를 포함한다. 하지만에로스의 사랑처럼 지를 끊임없이 사랑할 때 필로소피아의 에너지 집중은 고조에 달한다. 그러므로 애인‘의 필요성을 망각할 가능성은 상존한다.

오늘날의 애지자인 과학자들에게 먼 조상이 쓴필로소피아의 문헌들은 ‘탈인간의 신화‘ 이다.
필로소피아의 정신적 유산은 이렇게 오늘날 과학-기술 행위에유전자처럼 스며들어 있다. 철학이 쓴 탈인간의 신화를 과학-기술이 실현하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 영향력 있는 모든 학문이 이미 오래전에 에로스의 화살만큼이나 강력한 철학의 화살‘을 맞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