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꺽정에 관한 여러 이야기 가운데 특히 잊기 어려운 것은 그가. 관가에 붙들려 가 모진 고생을 겪은 끝에 불쌍한 죽음을 당한 아비의 관짝을 옆구리에 끼고 산으로 묻으러 가는 대목이다. 이 대목은 임꺽정을 다룬 이야기 가운데서 아직까지는 가장 훌륭한 것으로 알려진 벽초의 소설 속에 나오는 대목이지만 그(임꺽정)의 힘, 그의 사람됨을 헤아리는 데는 더없이 적절한 대목이다. 그의 힘(아비의 송장이 든 관짝을 책보라도 끼듯 가볍게 옆구리에 끼었다)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그의 천성 가운데 하나인생명 가진 것에 대한 거의 우악스럽다 할 사랑이 그 대목에서처럼 감동적으로 묘사된 곳은 벽초의 소설 안에서도 다른 대목에서는 결코 쉽사리 다시 찾아보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죽음은 생명 가진 것에 가해지는 최악의 폭력이며 그것에 대한슬픔과 분노는 사람 목숨의 존귀함과 그것에 대한 사랑을 확인하는 최대의 표현인 것이다.
임꺽정 내가 빼앗은 재물은 모두 백성의 피땀을 짜내어 만들어 가진 재물이며 나는 그것을 빼앗아 본디 임자에게 돌려주었다. 내가 살상한 인명은 그러한 바르지 못한 재물을 가진 자거나그것을 지키려던 자들이다.
남치근 만일 사실이 그렇다고 하더라도 그 일을 어찌해서 네가 해야만 한다고 생각했느냐? 너는 나라의 행정을 믿지 않느냐?
임꺽정 믿지 않는다. 나라의 행정이 바로 그 모든 그릇됨의 근원이 아니냐. 그리고 나 혼자서 해야만 하겠다고 생각한 일은 없다. 나와 뜻을 같이한 사람이 많다. 저기 죽어 넘어진 내 형제들이 모두 나와 뜻을 같이한 사람들이다.
임금이 만일 하늘이라면 어째서 눈 앞의 간신배도 가려볼 줄 모르며 백성 굶주리고 구박받는 사정도 모른단 말이냐. 그리고 하늘이 어디 소 잡는 놈 천대하고 갓 쓴 놈 우대하는 법 있더냐. 비 오면 소 잡는 놈도 비 맞고, 갓 쓴 놈도 비 맞지 않더냐. 또 어두우면 갓 쓴 놈도 더듬고 소 잡는 놈도 더듬지 않느냐.
둘의 기운은 어느 쪽이 더하지도 덜하지도 않았으나 격국 일신을 버리고 싸우는 자에게 일신을 위해서싸우는 자가 마지막에는 견디지 못하였다. 꺽정이 피가의 두 무릎을 망가뜨려 놓았던 것이다. 꺽정은 도둑이 된 뒤로 이때처럼 슬퍼본 적이 없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