엽서 1
프로이트는 무의식을 혼자서 발견했다. 과감하면서도 용기 있게 자기분석을 통해 무의식을 이론화했다.

엽서 2
말실수lapsus, 하려다 못한 행동, 갑자기 떠오른 단어, 망각된 고유명사,
어떤 대상을 왜곡하는 것은 자신의 무의식을 보여주는 정신병리학적 현상이다

반대 엽서 1
프로이트는 수많은 책을 정독하면서 19세기 역사에 심취되어 무의식에대한 가설을 제기했다. 특히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철학에서 지대한 영향을받았으며 19세기 과학에서도 큰 도움을 얻었다.

반대 엽서 2
일상생활에서 관찰할 수 있는 여러 정신병리학적 증상은 각각 나름대로중요한 문제점을 시사하지만 어느 것 하나 리비도에 의한 욕망의 억제로만그 증상을 분석할 수는 없다. 더욱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 따른 욕망의억제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엽서 3 
꿈은 충분히 해석 가능하다. 억압된 욕망이 꿈의 형태로 표현되기 때문에 개인의 무의식으로 가는 최상의 지름길이다.

엽서 4
정신분석학은 임상 징후를 관찰하여 객관적으로 분석한 과학이다.

반대 엽서 3
꿈에 어떤 의미를 부여할 수는 있다. 하지만 동일한 관점에서, 그리고 꿈을 해석한 방법 그대로를 리비도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 적용하여 구체적인 정의를 내리기는 어렵다.

반대 엽서 4
정신분석학은 문학에 적용된 심리학과 관계가 깊은 학문이다. 문학의 주체가 겪은 전기를 분석해 그 사람의 문학 행위를 설명하고 그 사람 자체를이해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엽서 5
프로이트는 실질적인 치료와 침대에 누운 환자의 정신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환자를 치료하고 정신병리학이 진단한 병을 낫게 해주는 방법을발견했다.

엽서 6
정신분석을 통해 억압된 기제를 의식화함으로써 병적 징후를 없앨 수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