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마적인 여성 캐릭터 중 대표적인 것이 메두사다. 혹자는 데 이두사가 바로 바기나 덴타타라고 한다. 그리스 신화에서 메두사를 묘사할 때 크게 벌어진 입, 길게 늘어뜨린 혓바닥, 멧돼지어금니처럼 뾰족한 이빨‘ 이라고 쓴다. 거기에 뱀으로 뒤덮인머리카락이라니! 상상해보라. 무성한 음모로 뒤덮인 이빨 달린 질, 영락없는 바기나 덴타타가 아닌가. 한 번 보기만 해도 돌체 럼 굳어버리게 하는 괴물.
이러한 원초적 어머니는 프로이트가 주장하듯 거세당했기 때문이 아니라 거세하는 존재‘이기 때문에 두려운 존재라고 설명한다. 이렇게 보면 메두사 신화는 남성들이 갖는 거세공포를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남성을 꼼짝 못하도록 얼어붙게 만드는 이빨 달린 질을 가진 위대한 어머니 여신,모계사회와 여성의 힘에 대한 공포를 처단하는 이야기가 된다.
죽어서도 힘을 잃지 않아 누구든 그 얼굴을 보기만 하면 돌로 굳어버렸다는 메두사의 얼굴을 페르세우스는 아테나의 방패에 박아넣는다. 이 얼마나 상징적인 이야기인가. 지금도메두사는 아테나의 방패 속에 갇혀 있는 것이다. 나는 이것을남성의 직접적인 지배의 흔적을 지우고 여성을 대리로 삼아 행해지는 여성억압의 흔적으로 읽는다. 어쩌면 우리에게 필요한것은 아테나의 방패에 갇혀 있는 메두사의 머리를 끄집어내는일일지도 모르겠다.
위대한 여신이었다가, 악마와 붙어먹는 사악한 존재였다가, 메두사나 스핑크스 또는 세이렌이었다가, 마녀가 된 여성이라는 타자는 현대에 오면 유대인이 되고, 난민이 되고, 흑인이 되고, 성소수자가 되고, 그리고 페미니스트가 된다. 이들이 사회에 악을 퍼뜨리고 망가뜨린다고 한다.
파우스트는 "영원히 여성적인 것이 우리를 이끈다 Das ewig Weibliche zieht uns hinan"고 외쳤다. 문학에서 끊임없이 반복되는 이 영원히 여성적인 것‘에 대한 환상. 남자들을 현세의 관능과 쾌락에 빠지게 만들어 죄로 이끄는 것도 악마 같은 그녀지만, 오직 그녀의 순결한 사랑의 힘이 그를구원하리라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