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으 성장은 자본주의의 성장과 함께한다.괜히 현대를 플라스틱 시대라고 하는 것이 아니다. 플라스틱 제품은 보장나거나 파손 되면(혹은 싫증 나면) 언제든 다른 플라스틱 제품으로 대체할 수 있다. 압도적 범용성! 그래서 역설적으로 플라스틱 자체를 대체할 물질은 아무것도 없다. 설혹 그런 물질이 있다 하더라도 단가가 맞지 않는다.
그야말로 자본주의 정신이다. 자본주의에서는 화려하지만 저렴해야하며, 넘치게 생산하고 금세 바뀌지만 변하지 않아야 한다. 독점이라면 이루 말할 데 없이 완벽하다.

그러니 경우의 수를 생각해보면 플라스틱의 종류는 무한대다. 광고를 보다 보면 과하다 싶을 정도로 신소재가 자주 등장하는데, 이는 대부분 고분자화합물의 형태를 살짝 바꾼 플라스틱이다.
즉, 플라스틱이라는 용어는 새롭게 만들어지는 다양한 고분자화합물을 구분해주기 귀찮아서 뭉뚱그려 붙인 명칭이다. 물건의 성분표를 탔을 때 앞에 폴리 (Poly- 많은, 복합이라는 뜻)가 붙은 물질이 있다면 모두 플라스틱이다.

유일한 현실적 대안은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느 것이지만, 인류는 결코 미래를 위해 현재의 안락을 포기하지 않는다. 자본주의는 물이 오염되면 생수를 팔지, 공장을 멈추려고 하진 않는다. 

성전환 수술 이전에도 남성과 여성이 아닌 이들이 존재했다. 이들을남성과 여성 사이에 있다는 의미에서 인터섹스Intersex라고 부른다. 한국에서는 사이 간間 자를 써서 간성‘으로 번역하는데, 한자보다 영어가 익숙한 요즘 세대에게는 인터섹스가 의미 전달이 더 명확한 것 같다. 최근 젠더 문제가 중요해지면서 양성 평등‘이라는 표현이 자주 보이는데, 양성에는 남성과 여성만 포함되므로 잘못된 표현이다. 성소수자의 인권을 무시하려는 이들이 일부러 양성 평등이란 단어를 강조하는 경우가 많으니 우리는 ‘성평등‘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