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기 전에 쓰는 글들 - 허수경 유고집
허수경 지음 / 난다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허수경을 처음 '빌어먹을 차가운 심장'으로 만났다. 제목부터 빌어먹게 아팠다. 시뻘건 시집을 오래도 보았다. 표지가 나달나달해지도록 보았다. 시뻘건 표지에 쓰인 '차가운' 심장이라는 말이 잠시 우스웠다.

한동안은 '너 없이 걸었다'

'청동의 시간 감자의 시간'을 지나 멈춘 곳. '나는 발굴지에 있었다'

발굴지의 먼지를 아무리 떨어내도 그녀는 찾아지지 않고 모래 먼지만 날렸다. 어쩌다 눈물을 흘린 건 모래 때문이라고 탓하기 좋았다. 역시 허수경의 사막은 울어도 좋은 곳이었다.

그리고 다시 읽는 허수경의 유고 시집

가기 전에 쓰는 시들. 시에 빗금을 긋고 글이라고 다시 쓴 제목을 고집스레 가기 전에 쓰는 시들이라고 읽는다.

밑줄을 그으며 한참을 읽고 '모서리가 부서진 눈송이'같은 그녀를 만난다.

비슷비슷한 모습들이라고 퉁치기에는 구석구석 인이 박힌 그녀의 외로움과 예술을 향한 온 몸 던짐이 얼마나 큰 댓가를 치르는 일인지를 낱낱히 고백하고 있다.

그녀의 삶의 진술이자 쉼표이자 이 땅을 걸은 일일 보고서 같은 글을 읽었다.

자신의 죽음을 알고 있는 사람의 심정은 얼마나 처연할까. 끝끝내 고독을 선택한 용기는 어느 사막에서 발굴한 보물일까.

녹을 줄 알고 떨어지는 눈송이는 어떤 심경일까. 끝끝내 하강을 결정한 용기는 어느 별모서리에서 뿌려진 비약(秘藥)일까.

책을 덮으며 허기가 졌다.

문득 날아가던 새와 눈이 마주쳤던 것을 기억해냈다. 왜 나는 아무렇지도 않았을까?

나에게는 전해지지 않는 전율에 화가 났다. 모서리가 부서진 눈송이가 아니어서였을지도 모른다.

상실은 종종 허기로 오독되어지기도 한다.

배가 고픈건 아마도 그리움 때문일것이다. 안타까움 때문일 것이다.

이제 누구든 찾아 나설 수 있는 유적이 되어버린 그녀는 발목을 붙드는 모래 속에서, 높은 별 밭에서, 깊은 그리움 속에서 우리가 찾아내게 될 것이다.

 

'허수경' 이라고 발음하고 나면, 낯선 얼굴 하나가 희뿜하게 웃는 잔상이 떠오른다.

단 한번도 본 일 없는 시인이지만 그녀의 시가 만들어 낸 나만의 '허수경'은 늘 그렇게 희뿜하게 웃는다.

단 한번도 찡그린 일 없이 ..

그녀를 이제 묻는다. 언제든 꺼낼테지만 그 때마다 그녀는 나의 유적이고 보물이 되어있을것 같다.

 

-이 지구 어디에 묘지가 아닌 곳이 어디 있으랴. 모든 일상의 삶터는 묘지이다. 사막이 우리의 일상이고 열대림이, 광야가, 대도시가, 태양계가, 우주가 우리의 일상인 것처럼. 팽창하는 모든 것은 새로운 우주를 만들어낸다. 고립된 인간은 팽창을 거듭한다.

평생 시를 쓰는 일에 종사하면서 얻은 것은 병이고 잃은 것은 나다. 이 말을 어떤 직업에다 대고 해도 맞다. 그러므로 시를 쓰는 일은 일이다.

아직 길을 내지 못한 많은 언어가 내 속에는 있다. 그것뿐이다. 다만 나는 나이테를 완성하는 나무처럼 무의지를 배워야 한다. 수많은 인간의 길에 난 언어들을 안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