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에 출간된 책이다. 근간이라면 근간이지만 책의 절판주기가 짧아진 것을 고려하면 그리 근간도 아닌셈이다.
그럼에도 아직 구매할 수 있다니..
책이 출간되고 얼마되지 않아 읽고 리뷰를 썼었다.
다시 책을 펼친건 도로공사 노동자들 때문이다.
톨게이트에서 근무하는 고충이 미루어 짐작하는 것보다 훨씬 비인간적이며 비인격적이다.
심지어 그들은 정규직으로 채용되었으나 하루아침에 비정규직으로 만들고 직접고용하라는 법원의 판결도 무시한채 아무 관련없는 직무를 맡기거나 회유하며 정규직으로 고용요구를 포기하게 하려한다.
이미 갖고있던 지위를 빼앗고 시혜를 베풀듯 뻗대며 돌려주지 않고 있다.
도로교통부산하 공기업이다.
크게 이야기하면 국가에 책임이 있다. 노동자들의 권익을 보장해야하는 국가의 의무를 방기한 채 이윤을 추구하는 자본가의 태도를 하고 있다는 말이다.
구사대(참..언제적 구사대인지)가 동원되었고 여성 노동자들은 상의탈의로 저항하기도 했다.
여전히 전기와 물이 끊어진 곳에서 경찰들과 대치중이다.
전기와 물을 끊다니..심지어 보건의료단체연합 소속 의료인들의 진료조차 막고 있다고 했다.

법무장관 후보자를 호위(?)하던 정의(?)로운 사람들은 다 어디갔을까?
노동이 존중받지 못하는 사회는 민주적이지 않다.
노동자. 특히나 여성 노동자, 거기다 장애가 있는 여성노동자의 경우는 더 참혹하다.
태풍이 거센 날.
김천의 톨게이트 노동자들과 강남역 CCTV 철탑 위의 김용희씨가 걱정된다.
그들과 그들의 가족이 ‘국민‘ 으로 보장된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는 이유를 묻고 싶다.

기록되지 않은 노동을 다시 읽는다.

우리가 옳다!
우리가 제일 앞에 서겠다!
라던 도로공사 여성노동자들의 표정이 또렷하게 보인다.


도로공사는 하이패스에서 돈을 안 내고 도주하는 고객들 요금까지여성노동자들에게 받아오라고 요구한다. 도로공사 직원들이 직접 고객을 만나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은 거의 없다. 하지만 이런 과정을거쳐 경영 평가가 좋으면 성과급은 도로공사 직원들 몫이다. 책임지는사람 따로, 성과급 가져가는 사람 따로인 것이다.


사람들은 판검사, 의사, 변호들에게는 ‘웃지 않느냐고 반말로 따져 묻지 않는다. 그렇듯 톨게이트에서 일하는 여성노동자들에게도 인사와 웃음을 강요할 수는 없다. 
(중략)
세상에 귀하지 않은 노동은 없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