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남옥의 독학은 의식과 무의식, 두 가지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영화가의식적 차원에 해당하는 것이라면 여성으로서의 삶은 무의식적 차원에해당하는 것이었다. 박남옥의 독학은 훌륭한 개념과 이론이 제공하는 확실한 지침 대신 공식적인 말과 글의 칸막이를 벗어난 예술적·육체적 모험을 감행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졌다. 말과 글의 칸막이를 넘는 일이 가정이라는 규율적 공간의 울타리를 넘는 일과 동시에 이루어졌음은 물론이다. 

훌륭한 학자 한 명이 죽으면 도서관 하나가 사라지는 것이라고 한다.
어디 학자뿐이랴. 유능한 기술자 한 명의 가치 또한 그에 못지않다. 안타까운 것은 우리 사회에 이렇게 사라지는 기술자들의 경험지를 집적할 만한 장치가 없다는 점이다. 역사에서 소외된 민중들의 구술사가 중요한 것처럼. 기술사에서 지역 기술자들의 경험지 역시 중요하다. 그들의 지식은 실전에서 찾아낸 심미적, 기술적 차원에서 가장 알맞은 방법이기 때문이다. 알맞음은 실패의 횟수와 비례해 얻어진다.

우리는 단 한 번도 실패하는 법을 배우지 못했다. 우리 사회가 도전을 찬양하면서도 실패를 경멸하고오로지 독학만이 창조적으로 실패하는 방법을 알려준 것은 아닐까?

전태일의 분신이 한국 노동운동사의 결정적인 사건이었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지만 그가 허락되지  않은 환경 속에서 읽고 쓰는 일을 게을리하지 않았던 노동 지리는 사실에 대한 기억은 그리 선명하지 못하다. 전태일은 노동자들의 고통을 시회에 알리고 호소하는 데 전력했던 ‘투사‘이기 이전에 이 사회기 은페하고 있던 구조를 노동 현장에서 예민하게 탐침하며 노동자의 인어로 구체화해갔던 유례없는 독학자‘ 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