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 소비에트 연방이라는 이름을 도대체 언제 불러보고 그만 두었을까 싶다. 그래도 가끔 무의식적으로 소련이라고 이야기 하면 이야기상대는 응? 어디? 라고 반문하곤 한다. 그상대가 젊고 어릴수록 ‘어디라고?‘하는 표정은 더 진하다.
러시아, 일상의 신화들.이라는 부제가 있지만 러시아를 읽으려면 소비에트 연방의 시기를 뺄 수 없다. 그건 마치 징검돌도 도약판도 없이 넓은 개울을 건너려는 것과 같으니 말이다.
스베틀라나 보임. 소련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망명하여 활동하다가 미국관광객 신분으로 고국을 찾아 연구한 비평물이다.
매우 광범위하고 전문적이기까지하다. 읽는 속도가 붙지 않는다. 개념을 바로 잡아두어야 할것들이 많다.
제목이 된 common place 와commonplace 같은 설정들.
그렇다고 지루하거나 하진 않다. 저자의 힘이 분명하게 있다. 한문장이 다음문장을 힘있게 끌고 온다.
겨우 절반을 읽었지만 읽는 동안은 얼마나 읽었는지 인지하지도 못했다.
책 속에 삽입된 그림에 대한 도상학적 분석을 읽는데 선명하지도 않고 흑백이어서 (분홍코끼리에대한 분석을 읽으며 너무나 궁금해서..어떤 분홍?) 굳이 찾아보고 이해한다. 그깟 고무나무가 뭐라고 그것조차 이야기가 되고 분석이 되는 상황이 놀랍다.
이렇게 징검돌을 놓듯 찾아보며 읽는 것이 수고롭기보다 뭔가 즐겁다.
아직 절반이 남았다.
아무것도 아닐 일상에 새겨져있는 그들의 신화를 들여다보는 것. 다른 언어로 번역되지 못하는 그들만의 공통의 장소를 찾는 것은 의외로 스펙타클하다. 전세계적 사건과 사조와 인물들이 끊임없이 드나드는 역동적인 역사이자 신화다.


모든 인간성에 공통적인 것은 기본적인 감각의 반사작용인 "열의없는 정동" languid affect이 아니라 아름다운 것을파악하기 위해 자신을 감각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능력이다.공감은 아름다운 것을 지각하기 위해 내딛는 한 걸음이다.

 그러나 코무날카의 사적인 한 귀퉁이에 있는 고무나무는 다른 이념적 뿌리를 갖고 있다. 그것은 상상의 부르주아 온실 속의 최후의 병약한 생존자 혹은 중산 계급 거주자들의 화초용 상자 속에 있는,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제라늄의 초라한 친척쯤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므로 스탈린 시기에 제라늄은 제거되었고, 물리적으로도 박멸되었다.

스탠리 카벨은
"평범함의 초자연성‘uncanniness of the ordinary에 대해 이 둘은 철학적 논의에 저항하면서 동시에 이를 요청한다고 말하고 있다. 일상 삶의 평범함monplaces 은 우리에게 자연스러운 듯 보이고 이 자연스러움‘으로 인해 수많은 문화적 오역들이 생겨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