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립 Bleep - 일상의 현실을 바꾸는 무한한 가능성의 발견
윌리암 안츠 외 지음, 박인재 옮김 / 지혜의나무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What the Bleep do we Know? 이 제목은 정말 내가 묻고 싶은 것이었다. 블립이 모여?
블립(Bleep)은 단어적 의미로 그대로 해석하면, 전자 장치에서 나는 삐~ 소리이다. 그럼 여기서 한가지 의문이 더 생긴다. 그게 뭐? 어쨌다고...?? 물론 책 제목을 늘 이런식으로 걸고 넘어가진 않는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나면 이런 의문들은 지극히 적절한 반응이다. 답을 구하지 못하더라도 어떤 사건과 가정들에 도전하는 질문을 통해서 과학은 진보한다. ㅎㅎ

제목에서 묻고 있는 Bleep에 대한 대답을 이 책에서는 구할 수 없다. 왜냐하면 우리는 아무것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마치 전자파의 삐~ 소리처럼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고작 그 수준의 극히 작은 정보 조각일 뿐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우리가 그동안 당연한 듯 받아들였던 것들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던진다. 가령 '현실은 무엇인가?' 라는 것 같은...

일반적으로 우린 우리가 볼 수 있고 만질 수 있는 즉, 오감으로 느낄 수 있는 어떤 인식 가능한 것들을 현실로 알고 있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우리가 인식하는 현실 너머의 무한한 '의식'이 있음을 이야기한다. 그 핵심으로 작용하는 원리로서 '양자물리학' 이론을 도입한다.

우리가 현실과 의식을 이원론적으로 나누어 받아들이게 된 배경엔 데카르트부터 뉴턴, 아인슈타인에 이르는 기계론적 세계관에 젖어 있기 때문이다. 현재 과학의 패러다임에 따르면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는 기계적이고 예측 가능한 것이 되어 조건만 주어지면 수학과 과학에 의해 완벽한 결과를 산출해낼 수 있다. 그것이 과학적 사고이고, 과학적으로 설명될 수 없는 현상은 현실이 아닌 것이다.

하지만 기계론적 세계관은 '양자물리학'이란 새로운 이론이 도입되며 흔들리기 시작한다. 왜냐하면, 양자물리학에서 설명하는 원자는 거의 빈공간이며, 우리를 지지해 주는 물질이란 형태는 결국 어디에 존재하는 것인지 의문이 생기기 때문이다. 물론 현대 과학으로 원자의 빈공간이 대부분 에너지라고 밝혀졌지만, 근본적으로 '물질이란 것이 어떤 존재하는 딱딱한 것일까'라는 것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남는 것이다. 물질 세계가 의식의 세계로부터 나왔는지, 혹은 의식 그 자체보다 더 근원적인 우주의 물질인지 더 깊이 탐구할 필요가 있다.

양자 물리학에서는 물질 세계의 핵심은 완전히 비물질 영역이며, 그것을 정보 확률파, 혹은 의식이라고 말한다. 양자물리학의 입자, 파동성과 양자 도약, 불확정성 원리, 비국소성 등을 연구하다 보면 양자 물리학이 신비주의 개념과 일부 상통함을 느낄 수 있다. 기계론적 사고관에 젖은 대부분의 사람들은 비물질적 신비주의 세계관을 현실과 과학으로 인정하지 않지만, 양자 역학으로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환상이라고 일컬어지는 현상까지도 설명이 가능할 수 있다. 양자물리학은 어쩌면 현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종교와 과학 문제에 대한 것들에 해답을 줄 지도 모른다.
 
이 책에서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양자물리학은 과거 이원론적 사고(현실과 의식의 분리), 기계론적 사고관에 이별을 고하고, 더 큰 우주론적 관점으로 우리와 세상이 연결되어 있음을 설명한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에 따라 무한한 에너지로 가득찬 이 세상을 바꾸어 갈 수 있는 우리 뇌의 놀라운 능력을 탐구해 간다. 인간의 뇌가 움직이는 전체 과정의 기본이 되는 것을 양자의 불확정성으로 설명해 간다. 우리가 가진 잠재적인 능력은 무한하며, 생각하는 대로 현실도 재창조된다고 말한다. 

결국 더 큰 가능성을 인식하고, 긍정적인 마인드로 생각을 하고 행동을 하면, 내 주변의 현실을 재창조할 수 있다는 것인데...그것을 양자이론까지 거론하며 거시적이고, 체계적이며, 아주 골치아프고, 힘들고, 어렵고, 지겹게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솔직히 이책 전반부에서 설명하는 뉴턴물리학과 양자물리학 쪽은 평소에 흥미롭게 생각하는 부분이라 즐겁게 읽었는데, 정작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책의 중후반부 내용은 어찌나 지루했던지, 내 의식이 책말마따나 우주 밖으로 몇번이나 들락날락했는지 모른다.;;  

하지만 한가지 말하고 싶은 건, 어설픈 자기계발서를 읽느니 차라리 이 책 한권을 추천하고 싶다. 내 존재의 근원과 의미 그리고 내 앞에 펼쳐진 의식과 현실을 우주론적 관점에서 거시적으로 되뇌어 떠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나와 우주 그리고 내면의 힘에 대해 새로운 이해를 얻을 수 있다.  넘 거창한가?? ㅎㅎ 그래도  양자물리학이란 분야의 새로운 관점의 접근과 과학적 지식의 확장이란 측면에서 굉장히 만족스럽다. 

 

참, 이 책의 내용은 <블립>이란 이름의 다큐멘터리로 더 유명하단다. 기회가 된다면 영상으로 다시 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