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체재활용 - 당신이 몰랐던 사체 실험 리포트, <스티프> 개정판
메리 로취 지음, 권 루시안 옮김 / 세계사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책 제목만 보고 호기심에 읽기 시작한 책이었지만, 그다지 유쾌한 책은 아니다. 그도 그럴 것이 시체에 대한 것을 다룬 책이기 때문이다. 요즘 내가 들고다니는 책에 관심을 보이는 한 친구가 나보고 맨날 이상한 책만 읽는다고 뭐라 그런다..ㅎㅎ 내용을 들여다 보면 특별히 이상할 것도 없는데 제목이 범상치 않은 것들이 좀 있긴 했다. 또 우연히 그 친구 만날 때마다 그런 제목의 책을 들고 있었던 것 같다. (잘린머리에게 물어봐, 내 목은 매우 짧으니 조심해서 자르게... 에서부터 이젠 아예 사체 실험 리포트다;;) 일단 시체나 죽음에 대해 특별히 꺼림직하게 생각되는 사람들은 이 책을 읽지 않길 권한다.(물론 시체나 죽음에 대해 꺼림직하지 않게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겠으나...) 또한 식후나 잠자기 직전에도 읽지 않길 권한다.
죽는다는 것은 어떤 것일까? 영혼은 빠져 나가고, 사후 세계가 있는지 없는지는 확신할 수 없으나, 시체라는 나의 껍데기는 남을 것이다. 일부 의식이 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사후 시체를 의학계나 과학계를 위해 기증하기도 한다. 아마 다른 사람에게 장기를 기증해서 죽어가는 사람의 생명을 부여해 주거나, 자신의 신체를 해부해서 의학계 발전을 위한다는 다소 우아하고 명예로운(?) 생각을 할지 모른다. 물론 그런 목적으로 시체를 활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시체가 그보다 훨씬 다양한 분야에 쓰이고 있었다. 솔직히 우아하고 명예스럽다기보다는 생각하기에 따라 역겹고 놀라운 일들에 쓰이고 있었다.
머리는 잘려져서 눈꺼풀을 뒤집거나 코를 세우는 것의 성형수술 연습용으로 쓰일 수 있고, 몸통은 잘려져 총탄 관통 실험에 응용될지도 모른다. 시체가 방치되어 부패실험에 이용될 수도 있고(이 부분은 범죄사건 해결에 이용된다), 비행기나 건물 아래로 떨어뜨리는 낙하실험에 이용될 수도 있다. 또 자동차 충돌실험, 폭발실험에도 시체가 이용된다. 피부는 화상환자에게 이식될 수도 있지만, 요즘에는 주름살 제거나 남성 성기 확대에 이용된단다. 말하자면 성형수술에 죽은자의 시체가 이용된다는 얘긴데, 그렇게까지 해서 자신의 몸을 뜯어고치고 싶을까? 우주왕복선에 토막난 시체를 탑승시키기도 했고, 파리의 한 연구소에서는 예수의 시신을 감쌌다는 토리노의 수의의 진의 여부를 가리는 실험에 시체를 이용했다고 한다. 요즘은 박물관이나 미술관의 예술작품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과거 중국에서의 시체를 약으로 먹었던 이야긴 정말 더 놀랍다. 죽은 사람을 꿀에 절여 약으로 만드는데, 더 놀라운 것은 죽을 사람이 죽기 전부터 약에 쓰이기 위해 꿀만 먹고 살며, 자신을 약으로 만들기 위한 준비를 한다는 것이다. 각종 병에 인간의 신체 부위가 약에 쓰이는 내용을 설명하면서 작가는 절대 걸려야 하지 말아야 할 병이 간질이었다는 것을 소개한다. 간질 치료제로는 인간 두개골, 말린 인간 심장, 인간 미라를 뭉친 알약, 사내아이의 오줌, 쥐, 거위, 말똥, 검투사의 따뜻한 피 등이 사용되었단다.
가장 흥미롭게 읽은 부분은 영혼이 머리에 있느냐, 심장에 있느냐에 대한 논쟁으로 참수, 부활, 머리이식에 대한 내용이었다. 보통 서양에서는 뇌사를 인정하고 있지만, 심장이 뛴다면 다른 사람의 머리를 이식해서 살리는 방안을 연구 중이란다. 실제 원숭이 같은 동물실험을 하고 있었고, 머지 않은 미래에 인간의 뇌이식 문제가 대두될지도 모르겠다. 오~ 이부분은 흥미로우면서도 꽤 섬짓하다. 내 몸통에 다른사람의 머리라....하긴 안면이식이나 다른 장기의 이식도 가능한데, 뇌라고 꼭 불가능하기만 할까?
죽은자의 시체를 인간과 동일한 존엄성을 가진 어떤 것이라 생각하면, 모두가 불쾌한 이야기일 것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것은 시체는 인간의 그 무엇도 아닌 이용해야 할 상품 같은 것이다. 인간 미래의 발전을 위해 인간의 껍데기인 시체를 이용하는 것만큼이나 효과적인 것은 없는 것이다. 환경문제를 고려해서, 시체를 퇴비화해서 농작물의 비료로 사용하자는 방안도 대두되고 있다. 작가는 덧붙여 말하기를, 죽은 이후에 이렇게나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에 죽음이 지루하지 않다는 것이다. 글쎄... 이 책이 모든 이들에게 작가와 같은 마음으로 다가올지는 모르겠지만, 어떤 사람들에겐 다소 불경스럽게 느껴질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과학의 발달과 더불어 도덕, 종교와의 갈등은 끝이 없는 것 같기도 하다.
개인적인 내 생각은 시체의 응용 문제에 대해선 찬성이다. 다만 자신이 사후에 어떤 목적으로 사용될지에 대해서는 알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흔히 장기기증 목적으로 사체를 기증한다고 할 때, 기증자나 기증자 가족은 그 사체가 구체적으로 어디에 쓰이는지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한다. 머리가 잘려져 성형수술에 이용될지, 비행기에서 공중낙하에 이용될지 알지 못한다.
한참 후가 되겠지만, 내 자신의 시체기증에도 긍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다. 다만 내 가족이 그것에 대해 신경을쓰고 마음 아파 한다면, 내 주장을 강요할 생각은 없다. 죽음은 그 자체로도 슬픈 것이다. 그 슬픔을 가족이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가중시킬 필요는 없다는 생각이다.
이 책을 통해 사후세계의 또 다른 특별한 경험을 한 것 같다. 그다지 유쾌한 소재는 아니었지만, 흥미로운 부분이 많았다. 다음 나의 독서는 좀 우아한 내용의 책을 골라 읽어야겠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