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아미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23
기 드 모파상 지음, 송덕호 옮김 / 민음사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 오래 전에 <여자의 일생>을 읽은 것 같은 데 줄거리가 전혀 기억에 나지 않는다. '기 드 모파상' 너무나 유명한 이름이지만, 사실상 이 작품이 내겐 그를 알게 된 첫 작품이라 말해도 좋을 것 같다. 이 책은 상당히 두꺼운 분량임에도 불구하고 술술  읽혔다. 하지만 어느 순간 책장을 넘기기가 불쾌해졌고, 작품의 결말을 다 읽고서는 '어~~ 이렇게 끝나면 안돼는데..!'라는 생각과 함께, 이 나쁜시키가 이렇게 잘나가는 꼴을 두고 봐야한다는 것에 울화가 치밀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마음 속으로 얼마나 많은 욕을 쏟아냈는지 모른다.

아름다운 남자는 무슨 얼어죽을~ ! 제목만 보곤(벨아미에서 오는 어감도 부드럽고..) 얼핏 따뜻하고 서정적인 사랑이야기 같이 느껴졌었다. 하지만 내용은 전혀 그렇지 않다. 사랑 이야기가 아니라 쾌락과 불륜에 관한 이야기며, 뒤루아라는 한 남자의 물불 안가리는 권력과 야욕, 그리고 신분상승의 쟁취극이었다. '벨아미'는 잘생긴 뒤루아에게 그를 추종하는 여자들이 붙여 준 별명과 같은 것이다. 그는 그의 외모를 이용해 높은 지위와 부를 가진 여자들을 사로잡고, 그녀들을 발판으로 신분상승과 부를 꾀한다.

처음부터 뒤루아가 그렇게 못되먹은 인간은 아니었다. 천성이 그리 선한 것 같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도덕성, 인간성을 모두 내팽겨친 채 권력과 부에 눈이 먼 상태는 아니었다. 오히려 안쓰러울 정도로 굉장히 궁색했다. 뒤루아는 파리에 상경해서 거의 굶다시피한 생활을 할 즈음 우연히 군대동기이자 신문사에 다니는 포레스티에를 만나게 되는데, 포레스티에의 권유로 신문사에서 일하게 되면서 파리의 현실과 귀족사회의 병페를 서서히 알아가게 된다. 

그가 권력과 신분상승에 빨리 눈을 뜨이게 된 데는, 그의 너무나 궁색했던 과거의 삶도 영향이 있겠지만, 무엇보다 언론업종에 있으면서 세상 돌아가는 정보를 빨리 습득한 데 있다. 그 당시 귀족사회의 저마다 권력을 추구하고 돈을 벌어들이는 데만 열을 올리고 있었고, 성공의 잣대는 바로 돈이었다. 돈이라면 도덕성 쯤은 내팽겨질 정도로 하찮은 것이 되었다. 뒤르아 또한 그 흐름에 발맞춰 처세에 능한 뻔뻔스러운 인간으로 거듭나게 되었고, 그의 잘 생긴 외모는 여자들을 이용하는 데도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이 여자에서 저 여자로 갈아타길 몇번하더니, 급기야 결혼마져도 권력을 위해 손바닥 뒤집듯이 엎고 새로 시작한다.

운도 억세게 좋은 뒤루아~ 이 남자에게 실패란 것은 따르지 않았다. 여자를 갈아탈 때마다 수많은 돈이 따라붙었고, 신분과 권력 또한 하늘 높은 줄 모르고 계속 상승해갔다. 사실 이런 종류의 이야기의 결말은 파멸로 이르게 되는 것이 당연하거늘...이 남자에겐 그 결말마져도 핑크빛으로 빛나는 것 같았다. 

주인공 뒤루아가 최고로 나쁜놈 같이 보였지만, 이 책 속에 나오는 인물들 모두 문제가 있었다. 부정부패를 일삼고 정치와 결탁하는 귀족남편들, 불륜을 저지르고 막나가는 귀족부인들, 바람나서 야밤도주하는 귀족딸래미들.... 아마 이 드라마가 요즘 시대에 나왔더라면 소위 말하는 막장 드라마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게다가 나쁜놈들이 더 잘먹고 잘사는 세상이라니.....
어쩌면 이런 세상이 권선징악으로 꾸며논 소설 속 이야기보다 더 현실적이지 않을까 생각해 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