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연장통 - 인간 본성의 진짜 얼굴을 만나다
전중환 지음 / 사이언스북스 / 201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과학서들을 둘러보면, 진화이론과 무신론에 대한 책들이 너무 많이 나와 있다. (솔직히 제목만 보고 우연찮게 내가 집어든 이 과학서가 진화이론에 관계된 내용인지 미쳐 몰랐다.) 진화이론이 무신론이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갈수록 신에 의한 창조이론의 논리는 점점 입지가 좁혀져 가고 있는 느낌이다. 개인적인 편견일 수 있겠지만, 진화론의 범위는 점점 확장되어 가고 있는 것 같다. '진화심리학'이라는 이름조차 생소한 학문까지 새롭게 대두되고 있으니 말이다. 이젠 진화이론으로 인간의 행동과 마음까지도 설명하려드는 것이다.

흔히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라 하며, 동물과는 좀더 차원이 높은 종으로 여겨 왔다. 본능이 지배하는 동물과는 달리 인간의 합리적인 이성을 바탕으로 문화를 창조하고 전승하는 존재라는 것은 상식이다. 하지만 진화심리학적으로 설명하면, 이런 심오하고 추상적인 것들이 모두 망상이 되어버린다. 인간의 마음은 동물과 마찬가지로, 포식동물을 어떻게 피할 것인가, 비바람을 어떻게 피할 것인가, 어떤 배우자를 선택하며, 종족 번식을 위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것들에 잘 적응하고 해결하게끔 자연선택에 의해 진화되어 왔다. 

우리의 본성은 수백만년 전 수렵- 채집 생활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현재에도 남아 있는 그 시대 본성의 한 가지 재미있는 예를 들면, 남성이 야한 동영상을 볼 때 남성의 두뇌는 그 모습이 실제 여성이 아니라 이차원적인 선과 점의 조화라는 것을 인식하지 못한다고 한다. 따라서 동영상을 보면서 아무런 실익도 없이 심장 박동수를 높이며 발기를 시키는 것이다. (인간이 진화한 환경에선 야한 동영상이 없었다.)

이 책은 이렇게 우리의 일상에서 흔하게 일어나는 인간의 심리기재를 통해 진화 이론을 펼친다. 카페의 창가 구석진 자리를 선호하는 이유, 마트에서 고기나 채소 고르기, 왜 연예인의 가십에 귀를 쫑긋 세우는지, 매운음식에 눈물 콧물 다 흘리면서도 사족을 못쓰는지, 인간의 왜다른 영장류들과 달리 털이 없는지 등등 꽤 흥미있는 이야기들이 많다.

주목할 만한 것은 인간만의 본성이라 여겼던 도덕, 정의, 종교, 문화 등도 수백만년전 아프리카 사바나에서부터 생존과 종족번식에 필요한 심리 기재가 쌓인 진화론적 결과물이란 것이고, 남성성과 여성성이 다른 것도 문화 사회적인 후천적인 요인이라기보단 아주 오래 전부터 자연선택에 의해 진화한 심리 기제로 설명한다. 

이 책을 통해 진화심리학이란 새로운 학문에 대해 알게 되었고, 생활 속에서의 진화론적 접근이 꽤 흥미롭긴 했다. 하지만 기존에 진화이론이나 성(性)적 성향을 다룬 몇권을 책을 읽어왔기에, 겹치는 내용도 많았고, 이 책이 학문적으로 그리 깊게 들어가는 내용이 아니기에 그 가벼움에 살짝 실망했다. 하지만 우리가 생물학적뿐만 아니라 정서적인 본능까지도 오랜 세월 자연선택에 의해 진화되어 왔다는 사실은 과연 진화 이론이 어디까지 확장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기대와 의문을 갖게 한다. 

하지만 거기까지.... 당분간은 진화이론에 대한 책을 읽지 않을 생각이다.  좀 다른 분야의 신선한 과학서가 고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