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백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18
미나토 가나에 지음, 김선영 옮김 / 비채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고백'이라는 것에 대한 나의  생각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어떤 일이나 사건에 대해 후회나 반성의 마음을 갖고 참회의 마음으로 사실을 이야기하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사랑을 이야기하는 것처럼 남몰래 품어온 어떤 동경하는 것들에 대한 솔직함을 표현하는 것이다. 하나의 단어 속에 포함된 의미를 이렇게 단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은 나의 선입관일 수도 있다. 하지만 적어도 고백이라는 것 속에는 마음을 울리는 애틋함이 배어있어야 한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이 책속에 나와 있는 '고백'이라고 하는 것들에는 일말의 후회나 애틋함은 찾아볼 수 없다. 고백은 이럴 때 쓰는 말이 아닌 것 같다. 고백이 아니라 단순한 '폭로'이며, '단죄'이다. 인간이 얼마만큼 잔인하고 참혹해질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모노드라마(?) 같았다. 사람을 잔인하게 죽인 살인범이 나와서 내가 어떻게 사람을 죽였는지 아무 감정없이 토해내는 것처럼...이 책속의 주인공 모두 '사이코패스' 같았다. 

자신의 딸을 죽인 학생들에게 복수하는 담임의 이야기가 이 책의 줄거리이다. 자식이 살해당한 부모의 심정이 오죽하겠는가마는, 담임이라는 입장에서 학생을 단죄한다는 설정에 굉장한 거부감이 왔다. 물론 소설의 내용은 그렇게 단순하지만은 않다. 사건을 풀어가는 과정에서 가정불화, 애정결핍, 집단따돌림 등 복잡하게 얽힌 여러가지 문제들을 끄집어 폭로하고 있었다. 이 모든 것들은 끔찍한 청소년범죄와 불완전한 인격의 형성에 온상이 된다. 우리 사회가 어디서부터 어떻게 잘못된 것인지, 누가 피해자이고, 가해자인지 헷갈릴만큼 사건은 극한의 복수극으로 이어진다. 모두가 자신이 피해자인 듯 폭로하고 있지만, 결국은 모두가 살인범이고, 모두가 가해자인 것이다. 이 부분은 마치 좀전에 읽었던 요시다 슈이치의 '악인'을 연상케 한다.

복수만이 해결의 방법일까? 인간의 잔인성을 극단적으로 보여주는 이 책이 너무나 소름끼쳤다. 그리고 왠지 일본소설답다'는 생각을 했다. 일본소설을 나쁘게 폄하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다만, 일본 문학작품임에 이런 극단적인 설정이 가능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