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에서 일주일을 - 히드로 다이어리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청미래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안>이란 책으로 시작했던 알랭 드 보통과의 만남은 벌써 이 작품으로 다섯번째이다. 처음 그의 작품을 접했을 때 굉장히 어렵고 방대하다고 생각했었는데, 그의 깊이 있는 지식체계에 숨을 헐떡이며 힘겹게 쫓아갔었던 한두번의 경험(?)이 쌓이고 나니 이제 제법 그의 문체와 논리에 익숙해졌다. 사실 이 책 <공항에서의 일주일을>은 그의 작품 중에 가장 가볍게 읽혔다. 알랭 드 보통이 얼마나 공항에 대해 애틋한 생각을 갖고 있는지는 그의 전작 <동물원에 가기>나 <여행의 기술>을 통해 확인한 바 있다. 우울할 때면 공항에 가서 비행기가 뜨고 내리는 것을 보며 마음을 달랜다는 그였다. 

난 우울할 때 단순히 비행기가 뜨고 내리는 것을 보고 마음이 해소될 것 같진 않다. 오히려 저 비행기에 타고 내릴 사람들이 부러워서 마음이 더욱 공허해질 것 같다. 역시나 내가 꼭 비행기 안에 타고 있어야만 한다. 이륙과 착륙 직전의 그 설레임은 낯선 곳에 대한 기대와 함께 증폭된다. 따라서 비행기를 타기 위해 가는 공항은 내게도 즐거운 곳이다. 수많은 여행자들 속에서 그리고 한없이 길게 이어지는 면세점과 게이트 속에서 이미 나의 여행은 시작된다.

이 책은 알랭 드 보통이 공항의 상주작가란 명목으로 일주일간 히드로 공항에 머물면서 보고 느낀 모든 것을 기술한 것이다. 히드로 공항을 소개하기 위한 마케팅적 기획(?)의 일환으로 제안받은 일이겠지만, 공항을 특히나 좋아하는 알랭 드 보통에겐 거부할 수 없는 매력적인 일이었으리라. 그는 공항에서 볼 수 있는 많은 사람들과의 만남과 이별에 대한 생각과 사색들을 풀어놓았다. 이별을 안타까와 하는 연인, 만남의 기쁨에 감격한 가족, 여행에 들뜬 수많은 사람들, 각국 환전소, 각국 인종의 다양한 사람들이 교차하는 이 곳은 활기와 낭만이 넘치는 듯이 보인다. 

하지만 보통은 공항의 이런 낭만적 정취에 대한 이야기만 늘어놓지 않는다. 고급 라운지에서 그들만의 지위와 부를 즐기는 자산가와 그곳을 청소하는 외국인 노동자 사이의 이질감, 제 3세계 노동자들의 손을 거친 기내식이 만들어지는 과정 등에 대한 이야기는 꽤 흥미로웠지만 조금은 슬픈 생각도 들었다. 또한 모든 사람들을 잠재적 테러리스트로 간주해야하는 긴장감 넘치는 보안 요원들의 이야기 또한 빼놓을 수 없다. 공항이란 곳도 결국 세계 각국 다양한 계층, 다양한 인종이 모여드는 글로벌 자본주의의 축소판이라고 해도 될 만큼 치열하고 냉혹한 곳이었다. 엄청난 노동력이 흡수되고, 또 엄청난 소비가 이루어진다. 어느 누군가에겐 여행의 설레임과 꿈을 향해 나아가는 낭만적인 공간이지만 또 다른 누군가에겐 치열한 생존이 달린 곳이다.

공항에서의 일주일이라... 나도 몇년 전 히드로 공항에 내렸던 적은 있었지만, 그 명성(?)에 비해 규모도 시설도 그리 좋아보이지 않았다.(인천공항이 제일 좋다.) 그런 히드로 공항에서 알랭 드 보통은 일주일을 보내며, 어떤 이야기들을 풀어낼지 사실 궁금했었다. 하지만 역시 '보통'답게 단순히 공항에 대한 이야기에만 국한하지 않았다. 공항을 통해 세계 자본주의 경쟁사회에 대해 꼬집고 있었고, 이런 이야기들은 단순히 여행과 쇼핑, 먹는 것에만 들떴던 내게 좀 더 깊이 있고 의미 있는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