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민 - 사랑할 때 버려야 할 지독한 감정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이온화 옮김 / 지식의숲(넥서스)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불구가 된 소녀, 그 소녀를 가엾게 여겨 따뜻한 마음을 나눠주었던 남자, 불구인 딸을 지키고자 자존심마저 버린 아버지... 이 세 사람 모두에게 강한 연민이 느껴진다. 하지만 내가 이렇게, 특히 책속의 인물을 통해 자주 남발하는 이 '연민'이란 감정이 얼마나 무섭고 이기적인 감정인지 예전엔 미처 생각하지 못했다. 그리고 그 '연민'이란 감정의 의미를 내가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조차 헷갈렸다. 그저 상대를 측은하고 안타깝게 여기는 감정 수준을 넘어 너무나 많은 것들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연민'은 그저 단순한 감정이 아니었다. 그냥 쉽게 마구 표현할 감정이 아니었다. 이 책 '연민'은 한 남자의 이야기를 통해 섣불게 베푼 연민의 감정이 상대의 인생은 물론 자기 자신까지 양심의 가책으로 평생을 고통받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한 남자가 하반신 불구의 소녀에게 춤을 신청하는 실수를 범하게 된다.  남자는 자신의 실수에 대한 죄책감과 불구의 소녀에 대한 연민으로 그 소녀에게 사과의 꽃다발을 보낸다. 그 사건을 계기로 남자는 소녀와 소녀의 가족과의 복잡하고 불편한 관계에 휘말리게 된다. 남자는 집 밖으로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는 소녀의 말벗이 되어주고, 그녀에게 따뜻한 마음을 전해준다. 외로웠던 일상에 다정함으로 다가온 남자는 차츰 소녀의 전부가 되어 버린다. 소녀는 남자와의 만남을 더욱 기대하게 되고, 사랑을 느끼게 된다. 한편 소녀의 아버지는 자신의 인생에 가장 소중한 딸이 불구가 되었다는 사실이 매우 고통스럽다. 자기 자신도 병이들어 죽어가고 있었지만 딸을 위한 일이라면 어떤 것도 마다하지 않는다. 딸이 남자를 좋아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남자가 소녀와의 관계를 끊지 않도록 매달리기도 한다. 소녀와 소녀 아버지에 대한 연민으로 남자는 그들에게 소녀의 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왜곡된 희망을 심어준다. 이것이 나중에 더욱 비극적인 결말을 초래하게 된다. 

 
소녀의 자신에 대한 사랑의 감정에 당황스러워진 남자, 소녀에겐 남자가 유일한 삶의 희망이 되어버린 것을 알고 있기에 남자는 그녀를 확실히 거부하지도 못한다. 그것은 소녀에게 더 큰 상처를 주고, 그녀를 죽음으로까지 내몬다. 연민과 양심의 가책 속에 갈팡질팡하는 유약한 남자를 보며, 한낱 섣불리 품었던 '연민'의 감정이 얼마나 무거운 책임을 지게 하는지 느끼게 한다.  결코 악의가 없었던 한 남자의 순수한 마음이 이런 결말을 초래했다는 사실이 너무 가혹하게 느껴졌다. 하지만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어떠한 이유에서든 자신의 감정에 책임질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인간의 감정이란 것이 대부분 그다지 계산적이지 못해서 너무나도 많은 실수를 범하지만, 그것이 악의 없는 실수였을지라도, 책임을 회피할 수는 없는 것 같다. 혹여 책임을 회피했을지라도 양심의 가책과 죄책감은 씻을 수가 없다. 사랑보다 더 지독한 감정, 그것은 바로 '연민'이었음을 느꼈다.

 
사소한 개인적인 경험이 떠오른다. 후진국을 여행하다 보면 아주 어린 아이들이 여행객들에게 모여든다. 동전 한닢 또는 먹을 거 하나라도 얻어 먹기 위해 벌떼같이 모여든다. 한참 밝은 모습으로 뛰어 놀아야 할 어린 아이들이 생계를 위해 구걸을 하는 것이다. 불쌍한 마음에 달러 하나 쥐어주면 매우 기뻐하며 감사의 인사를 한다. 그 웃는 얼굴을 보면 내 마음도 즐거웠다. 하지만 가이드는 여행객들에게 아이들에게 돈을 주지 말라고 당부를 한다. 그깟 몇푼어치 돈이 아까워서가 아니다. 내가 베푼 작은 동전 한닢이 그들이 스스로 일하려는 의욕을 짓밟고, 평생 앵버리의 삶으로 그들을 내몬다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당장 눈앞의 그들이 불쌍해 보여, 몇푼어치 선행을 인심쓰듯이 남발한다. 

 
내가 상대에게 갖는 '연민'의 감정이 진정 상대를 위한 것인가 생각해 보게 한다. '연민' 이란 감정 속엔 어쩌면 내가 상대보다 우월하다는 것과, 나보다 못한 누군가에게 뭔가를 베풀었다는 자기만족감이 대부분이 아닐지 생각한다. 설사 그것이 순수한 감정에서 시작되었다 할지라도,  결국 남을 위한다는 것보다 자기를 위한 이기심이 아닐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