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학 오디세이 2 미학 오디세이 20주년 기념판 3
진중권 지음 / 휴머니스트 / 2003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권을 읽은지 벌써 3달이 훌쩍 넘어갔다. 1권을 읽기 시작할 무렵엔 책 세권을 한방에 끝내리라~ 마음을 먹었었는데...역시 나의 책 읽기 습관은 마음먹은대로 계획대로 이뤄지지 않는다. 이책 읽다보면 저책이 눈에 띄고, 저책 읽다보면 또 다른 책이 눈에 띄고, 이책 저책 마구 쑤시고 다니다보니, 온갖 잡학(?)이 머릿 속에 한꺼번에 소용돌이를 쳐, 정작 내 것으로 흡수된 책은 몇권이나 될까 한심하게 생각해 보기도 한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이 책 1권의 내용을 거의 기억하고 있다. 1권을 모두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는 이야긴 아니다. 진중권님의 미학 시리즈가 미학의 기초를 다루고 있다곤 하지만, 철학 쪽에 거의 문외한인 내가 단번에 다가서기엔 애매한 점이 많았으니..... 요 2권은 1권보다 한층 더 애매했다. 애매하단 표현이 이상하게 느껴질지 모르겠지만, 적당한 단어가 떠오르지 않는다. 어렵지는 않은 것 같은데 이해하기가 어렵단 이야기다. 결국 내겐 쉽지 않았더란 말인데...어렵지도 않으면서 그렇다고 쉽지도 않고... 애매하단 표현밖에 할 수 없다. 결국 이것도 말장난...이 책속의 모든 내용이 말장난 같았다.! 이것이 내가 철학과 쉽게 친해지지 못하는 결정적인 이유다. 
 

각설하고, 그럼 2권의 내용을 조금 소개해 본다. 정리가 아니라 소개라는 점을 염두해 두길... 정리는 무리무리.. 
1권에서 에셔가 주제였다면, 2권은 마그리트를 중심으로 미학의 세계를 펼쳐 보인다. 



주로 고전 미술 작품에 익숙해진 난 현대 미술, 특히 추상 작품은 도저히 이해하기 힘든 것들이 많다. 손으로 그린 건지 발로 그린 건지 알 수 없는 표현들, 도대체 뭘 그린 것인지 낙서 같은 그림들, 더욱 당황스러운 것은 변기통이나 침대가 그대로 예술 작품으로서 전시되어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가진 모든 편견, 생각들을 넘어 실제와 허구, 내면과 직관, 말과 사물, 내 자신의 본질까지  의문이 생기기 시작했고, 예술이란 무엇인가? 에 대해 다시 원초적으로 생각해보게 됐다. 또한, 현대 미술을 보고 '저게 뭘 그린거냐?'는 질문과 생각은 실례되는 것임을 이해하게 되었다.

 
입문서를 2권까지 읽은 지금솔직히 1권 읽을 때보다 미학과 예술이라는 것이 점점 더 애매모호해졌다. 많은 철학가들의 논쟁도 끝이 없어보인다. 어차피 예술이란 것을 한마디로 정의내리기는 어려운 것 같다. 하지만, 예술이 무엇이던 간에 인간의 감정에 어떤 쾌감을 주는 것은 분명한 듯 싶다. 그것을 이해하지 못할지라도 예술 작품을 보면 어떤 감정들이 생겨나니 말이다. '이 책을 읽으면 열락을 얻을지니'라고 감상을 남긴 이웃님의 글이 생각난다. 난 지금 그 열락의 기분으로 뿌듯하다. '미학' ,그 골치 아픈 학문을 다 이해하려 애쓰지 말자. 그냥 즐기다보면 어느 덧 깨닫게 되는게 있을지니...

3권은 언제 또 만나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