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in 시사
이인경 지음 / 북하우스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난 이 책이 한권의 교과서 같은 느낌이었다. 이 책은 주제별로 역사를 정리하고, 그 역사의 중요 쟁점을 짚어보며, 현대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까지 생각해볼 수 있게 구성되었다. 체제 또한 주제의 용어적 의미를 정리하는 도입을 시작으로, 과거의 역사를 설명하고, 중간중간 읽어보기 코너를 두어 본문에 관계된 자세한 부연 설명이나 본문 사건과 관계된 우리나라의 역사를 살펴본다. 그 다음엔 그 역사와 관계된 몇몇 유명 인물들이 대화형식으로 사건의 핵심을 다시한번 짚어보고, '세계는 지금 우리는 지금'이란 코너를 두어 그 역사가 현대 사회에 미치는 영향까지 살펴본다. 마무리 부분의 '나도 할말있다'코너는 주제와 관계된 물질이 직접 사건을 재해석하는데, 이 부분이 제일 재밌다. 도입부터 시작해서 중간중간 코너대로 내용전개 그리고 마무리 정리하기까지... 아~ 이거 교과서다.!! 이런 느낌이 한번에 탁 왔다.

사실 이런 교과서 같은 형식은 솔직히 책을 읽는 내겐 글의 흐름을 차단하여, 소설 읽듯이 즐겁게 역사의 흐름을 알 수 있는 맥을 좀 끊게 하는 경향이 있었다. 중간중간 삽입되어 있는 글박스와 각각 끊어져 있는 코너의 내용까지 모두 한꺼번에 통합적으로 설명되었으면 더욱 재밌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또한 코너별 설명들은 생략과 압축이 많아서, 조금 깊이 있는 내용을 읽고자 하는 사람들이겐 그저 한 주제의 맛보기 정도 밖엔 안될 것 같았다.

하지만 지금 세계사와 역사를 공부하고 있는 학생들이라면, 이 책이 굉장히 유익할 것 같았다. 역사를 토대로 현대 사회에 일어나고 있는 사건들을 짚어보며, 미래의 방향성까지 의미를 확대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역사 교과서가 이런 체제대로 가도 재밌을 것 같았다. 이 책에서 내가 가장 주의깊게 본 것은 <세계는 지금, 우리는 지금>이란 코너다. 지금 우리 사회에서 일어나는 시사와 사건들이 바로바로 연결지어 설명되어 있다. 단순히 역사적 사건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그 사건이 현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 미래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를 예측하는 일이 역사를 배우는 가장 중요한 점이라 생각한다. 우리나라 교과과정의 문제점은 교과서가 현실성이 좀 떨어진다는 것이다. 말그대로 학교에서 배운 것 따로, 현실에서 적용하는 것 따로이다. 다시 말하면, 배운 것을 실제 생활에 연결지어 생각하지 못한다. 물론 교과서라는 것이 그때그때 사건마다 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한번 쓰여지면 최소한 5년은 지속된다는 것이 문제일 것이다. 그래서 이런 책은 학생들에게 더욱 필요하단 생각이 들었다.

그럼 이 책에 나와 있는 내용들을 간단히 소개해본다. 그 내용은 여행, 대학, 뮤지컬, 성형수술, 이슬람, 사육, 일기예보, 식량, 신도시, 석유개발, 주식, 해적, 지도, 물, 우주개발의 역사이다. 제목만 봐도 알겠지만 꽤 흥미로운 주제들이 많다. 가장 관심있게 본 것은 석유의 역사다. 석유가 오래 전에는 건물 접착제나 설사약으로도 쓰였다니 몰랐던 놀라운 사실이다. 자동차를 달리게 하는 에너지원으로 각광을 받기 시작한 이후, 세계대전을 비롯한 각종 전쟁의 에너지원으로 쓰였다. 또 중동 전쟁을 야기시키고 국제 분쟁을 유발하는 요소로도 작용한다. 그만큼 석유가 세계를 움직이는 에너지원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머지 않은 미래에 곧 석유고갈에 직면하게 된다.  세계는 '그린뉴딜'이다 뭐다 해서 에너지 절약 정책과 대체 에너지 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 이명박 정부는 왠 원자력발전비율을 대폭 확대하는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을 확정했다. 원자력이 화석연료의 대안인가? 물론 세계가 어떤 흐름으로 경향성을 가지던, 자국의 이익을 우선으로 생각하게 마련이지만, 난 이 정부의 방향성을 모르겠다. 과연 누구를 위한 정부인가도 헷갈리고...역사와 세계흐름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현재 정부 대책을 살펴보면, 솔직히 속시원한 이야기보다 가슴답답한 현실을 알게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현실을 직시하고 바른 판단을 할 수 있는 안목을 키우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역사, 특히 시사에 대한 것들은 눈에 불을 켜고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나 또한 시사에 그리 밝은 편은 아니지만 이런저런 책들을 통해 안목을 넓히고자 노력한다. 

이 책의 리뷰를 쓰려 했던 것인데, 교과서 이야기서부터 글이 삼천포로 왔다갔다 마구 우왕좌왕이다. 체계적으로 글을 다시 고쳐 쓰지 않을 생각이다. 결국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은 딱 요거다. "시사에 관심을 많이 갖자"~ 그리고 "책을 많이 읽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