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모스 - 보급판
칼 세이건 지음, 홍승수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 때 밤하늘의 별을 쳐다보면, ’난 왜 저기 보이는 저별이 아니라 이곳, 지구에 살고 있는 걸까’라고 생각해 본 적이 많다. 또 저별 어딘가에는 우리와 다른 사회와 상상을 뛰어넘는 다른 삶이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그것은 어릴 때 호기심에 잠시 스쳐가는 생각은 아니다. 지금도 난 거대한 우주 속에 우리와 전혀 다른 모습의 지적 존재들이 살면서 우리보다 훨씬 앞선 기술문명을 키우고 있을 어떤 곳이 분명 있을 것 같다고 믿는다. 광활한 우주 속에 먼지만큼도 안돼는 이 지구라는 공간만이 유일하게 선택받아 생명체가 존재한다고 하기엔 너무나 비약적이지 않은가? 베르나르베르베르의 <인간>이란 책의 다소 당황스런 결말이 기억에 남는다. 우리보다 훨씬 앞선 외계 생물체가 지구인을 관찰하고 사육하고 있는 것이었다.어쩌면 이 자질구레한 인간사를 몇백 광년 떨어진 곳에서 지켜보는 우주의 지적존재가 있을지도 모르겠다. ㅎㅎ 

 

우주의 지적 존재들이라... 내가 이런 생각을 하기까지 우리 인류의 역사는 너무나 많은 변화를 거듭해왔다. 자기가 살던 땅이 세상의 유일무이한 곳이라 생각했던 때에서 다른 대륙을 발견하게 되고, 세상이 평평하다고 믿었던 생각에서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알게된다. 또 세상이 지구를 중심으로 돌고 있다는 생각에서 지구보다 더 넓은 무한 우주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 이 각각의 진리가 바뀌어 갈 때마다 종교적 신비주의에 젖은 구세력들로부터 수많은 과학자들이 희생되었고, 어떤 분야들은 현재에도 계속 논란이 된다. 과학의 발달은 자기 중심적인 인류의 존재 가치를 조금씩 흐트러트리는 것 같다. 하지만 우주를 이해하는 일, 그것이 바로 인간의 본질을 알고 인류의 미래를 위한 길이라 칼세이건은 말한다. 왜냐하면 우리가 바로 우주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엄청난 양의 에너지와 물질을 폭발적으로 뿜어 냈던 빅뱅 이후 아무것도 없었던 우주에서 수소원자들의 핵융합반응으로 1세대 별들이 태어나고, 수소가 타고 남은 재에서부터 원소들이 합성되고, 제 2세대 별, 지구가 탄생하고 인류가 기원되었다는 이야기들은 언제 들어도 경이롭다. 지구의 원시 대기의 분자에서 새로운 분자들이 합성되고, 복제되는 과정에서 생명이 출현하고 그것들이 진화하고 발달하는 과정을 칼 세이건은 다위니즘으로 설명한다. 도킨스가 그의 여러 책에서 자주 이 책 ’cosmos’의 내용을 인용했던 이유는 바로 진화론적 관점에서 칼세이건과 도킨스는 일관된 생각을 가졌기 때문이다.

 

우주의 기원, 우주의 수축과 팽창, 별의 생성과 죽음 등 거시적인 내용에서부터 역사적으로 우주를 향한 연구를 했던 수많은 과학자들과 그 시대에 지배적이었던 물질관, 과거 이오니아를 중심으로한 과학의 발달사는 역사서를 읽는 것만큼이나 흥미로웠고, 코페르니쿠스, 케플러, 뉴톤에 이르는 과학이론의 정립 과정도 재미있었다. 또한 빼놓을 수 없는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은, 이론상으로 아직까지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시공간 여행의 환상에 젖게 만들었다 . 특수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빛이 속도에 가깝게 움직일 때 시간의 흐름이 지연된다. 그렇다면, 우주여행을 하는 사람은 늙지 않으면서 다른 별로 갈 수 있는 것이다. 홍홍~ 늙지 않으면서 여행하고.. 이런 일이 가능하다면 인류는 그들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라도 우주여행을 감행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과연 빛의 속도에 가깝게 움직인다는 것이 실현 가능한 일일까? 그것이 불가능하다 할지라도 시공간 여행의 꿈은 여전히 버릴 수가 없다.

 

우주탐사의 발로를 위한 여러 시도들, 그리고 구체적으로 화성, 금성, 목성의 탐사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다큐멘터리를 보는 것처럼 생생했다. 또 외부 생명체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도 꽤 흥미로왔다. 이미 금성이나 화성에서의 생명체의 가능성은 희박함이 밝혀졌지만, 한편으론 생명체라는 것이 지극히 지구 중심적인 생각은 아닐까 생각해본다. 코스모스의 이해는 어쩌면 지구 상에서의 일반적인 법칙이나 관념들이 통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탈지구적인 생각이야말로 코스모스를 좀더 가까이 이해할 수 있는 지름길이 아닐까 생각해보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우리가 생각하는 생물적 요소라는 것(탄소나 물 같은 것으로 이루어진 생물체)이 화성에서는 전혀 다른 물질일 수도 있지 않을까?

 

칼세이건은 우주를 향한 미래로의 발로에 인간의 두뇌와 과학의 힘을 믿고 있다. 그 또한 외계문명을 믿고 있었으며, 언젠가 외계문명으로부터의 교류를 희망하고 있다. 그것을 위해 우주탐사와 기술 발달을 위한 전 인류적인 각오가 필요할 것이라고 촉구한다. 하지만  우주나 행성 탐사를 위한 로켓에 쓰이는 핵탄두가 전쟁무기로 저장되고, 행성탐사용 인공위성을 유도하고 외계문명으로부터 신호를 검출하는 데 활용되는 전파 레이더 기술이 미사일 공격에 쓰이는 현재 지구의 암울한 상황을 안타까와하고 있었다. 인류 문명을 발달시키기 위한 것들이 동시에 인류 문명을 파괴할 수 있다니....그는 과학의 발달이 인류를 환한 미래로 이끄는 진보가 아니라, 인류 멸망의 위기에 봉착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을 갖고 있었다. 환경파괴 또한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과학의 진보의 속도와 발맞춰 인간성과 인간의 윤리적인 면들 또한 동시에 진보해야 하는데, 아직까지 인간은 자기중심적인 편협한 생각들에서 빠져 있는 것 같다. 자신을 위해, 자국을 위해 더 큰 대의를 상실했다고 할까? 전쟁을 위한 핵무기 축적, 눈앞의 요만큼 진보를 위한 환경파괴... 그것들은 결국 지구 전체를 한순간에 날려버릴지도 모르겠다. 저 멀리 우주의 어떤 존재들이 이 지구위에서 이뤄지는 인간을의 삶을 보면 굉장히 우습게 보일 것 같다. 



이 책을 읽고 나니, 나의 생각과 시선이 한층 더 멀리 그리고 넓어진 느낌이 든다. 또한 어릴 때부터 어렴풋이 담고 있었던 나의 상상이 칼 세이건의 생각과 맞물리면서, 언젠가 외계 생명체와의 교류가 실현될 수 있다는 기대를 다시 하게 되었다. 우리도 이제 우주탐사에 참여하게 되었고, 한층 더 우주에 가깝게 다가가고 있다. 앞으로 미래 과학은 지구 내부에서가 아니라 지구 밖으로의 것으로 확장될 것이다. 밤하늘에 빛나는 별들이 더 이상 예사롭게 보이지 않을 것이다. 우주적 상상력, 그것은 어쩌면 실현 될지도 모르는 우리의 멀지 않은 미래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