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그림자 2
카를로스 루이스 사폰 지음, 정동섭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을 뛰어넘는 작가의 사랑은 독자를 더욱 매혹시키는 것 같다. 소설은 어디까지나 작가에 의해 창조된 허구의 문학이지만, 작가가 직접 경험한 일들과 생각들이 그대로 표현되어 있는 소위 '자전적 색체'가 강하게 묻어나 있는 소설을 읽을 때면 나도 모르게 소설 속 인물과 작가를 동일화시킨다.(그렇게 생각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소설 속 내용들이 단순히 '소설'이 아닌 '실제로 일어난 일'이라 몰입하게 되고, 그 감동과 여운은 몇 배로 증폭된다. 그런 여운으로 내가 특별히 기억하는 작품은 조지수님의 <나스타샤>와 로맹가리의 <새벽의 약속>이다. 특히 <나스타샤>란 작품을 읽고나선 그 여운으로 한동안 몸살을 앓았었다.

 

이 책 <바람의 그림자>는 '자전적 색체'가 묻어나는 소설이라기보단, 소설 속 주인공 다니엘이 '바람의 그림자'란 작품에 매혹되어 그 작가를 추적해가는 내용이다. 말하자면 '자전적 색체'가 묻어나는 소설은 이 소설 속의 소설 '바람의 그림자'이다. 단순히 한 작가의 과거와 현재를 추적하는 내용을 넘어서 사랑, 희생, 우정, 가족애, 미스테리 등등 굉장히 많은 것들을 작품 속에 담아내고 있다. 난 이 작품에 흠뻑 취했고, 이 작품의 리뷰를 어떻게 써야할 지 상당히 고민했다. '굉장히 괜찮았다'라고 쓰고 싶은데, 이 방대한 책 내용에 대한 내 생각을 어떻게 풀어놓아야 할지 쉽게 정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굉장히 괜찮았다'라는 이 표현 또한 직접 글로 써놓고 보니 별로 와닿지 않는다. 내 글쓰는 수준과 생각하는 수준이 아직 이정도 밖에 못됀다.

 

한 작가를 향한 주인공의 동경과 애착이란 감정도 이해가 되었고, 무엇보다 여운이 많이 남는 것은 소설을 뛰어넘는 작가 훌리안의 안타까운 사랑과 그를 위해 희생하는 주변 인물의 사랑이다. 그 안타까운 감동의 여운은 또다시 나를 한동안 아프게 할 것 같다.

뷰를 쓰지 않으려다 이 책을 추천하는 의미에서 몇자 남겨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