톨스토이, 도덕에 미치다 - 톨스토이와 안나 카레니나, 그리고 인생
석영중 지음 / 예담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톨스토이.... 문학의 거장이라 불러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유명한 작가이지만, 내겐 그가 매우 생소했다. 부끄럽지만 그의 작품 중에 읽은 것이 하나도 없었고, 최근 몇년 전까지 만해도 문학과는 거의 동떨어진 삶을 살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얼마 전 그의 <크로이체르 소나타>란 단편을 처음 읽게 되었다. 톨스토이에 대해 사전 지식이 전혀 없었던 내겐 그 작품이 굉장히 충격적으로 다가왔다. 톨스토이가 어떤 마음으로 이런 작품을 쓰게 되었는지 그의 사상에 의심이 생겼다.

흔히 말하길 소설은 어디까지나 소설이므로 현실과 허구를 적당히 구별해야 한다고 이야기하지만, 어떤 작품이든지 예술가의 사상이나 내면이 조금은 녹아들게 마련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한 사람의 작품은 어느정도 그 사람만의 '성향'이란 것을 갖게 되며, 예술가와 작품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떠오르게 된다. 미술이든, 음악이든, 책이든 단순히 작품의 외면적인 감상도 즐겁지만 예술가의 마음을 알게되면 그 작품이 더 쉽게 이해된다. 특히 소설은 글로써 우리에게 다가오기 때문에 더욱 그 마음이 직접적으로 느껴지는 것 같다. 소설 속 인물들이 말하는 것이나 행동하는 것 중에는 작가의 마음을 대변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톨스토이의 소설은 작가의 성향이 더 짙게 나타나는 것 같다. <안나카레니나>의 소설 속 인물 '레빈'의 결벽증적인 도덕성과 권위주의적 성격, 농업에 대한 견해 등을 보면 마치 톨스토이 분신처럼 느껴진다. 

<톨스토이 도덕에 미치다.... >
이 제목이 처음에는 매우 격양적이고 부정적인 느낌으로 다가왔다. 물론 그의 <크로이체르 소나타>란 작품을 읽고 그에 대한 나의 첫인상이 그다지 좋지 못했음을 인정한다. 하지만 '도덕에 미친 노인' 톨스토이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어졌다. 이 책은 '미치다'라는 격양된 제목처럼 톨스토이를 비판하는 책은 아니다. 그의 사상이 많이 드러난 안나카레니나라는 작품을 분석하고, 톨스토이의 인생관과 삶에 대해 알아보는 내용이다. 또 그의 삶과 생각이 작품 속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설명되어 있다. 그의 인생과 생각은 작품을 읽는 것보다 더 흥미로웠다.
 

<안나 카레니나>를 막 읽은 직후 이 책을 집어들었기에 그 감회는 더욱 짙었다. 책을 읽으면서 내가 의문을 가졌던 장면, 이해할 수 없었던 부분들이 마치 퍼즐맞추기 처럼 끼워지면서 톨스토이의 안나카레니나라는 거대한 작품이 내 속에 완벽하게 스며들었다. 또한 문학의 거장 톨스토이란 인물이 강렬하게 각인되었다. 그냥 별생각없이 지나쳤던 구절구절들이 톨스토이의 사상과 맞물려 다시한번 곱씹어졌다. 90권 이상의 방대한 작품을 남겼다는 톨스토이...그의 작품 중 고작 두권을 읽고 그를 모두 알았다고 하기엔 너무 비약적인 이야기 같지만, 이젠 톨스토이에 대해 어느 정도 알았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톨스토이의 삶은 소설 못지 않게 극적이다. 귀족으로서 방탕한 생활을 했던 그는 중년을 넘기면서 급격하게 금욕주의 현자로 거듭나게 된다. 그는 육체적 쾌락을 즐기면서도 육체적 사랑에 병적인 혐오감을 갖고 있었고, 합법적인 성관계를 위해 결혼하였지만 결혼하지 말것을 강력하게 주장하였다. 90권이나 책을 썼지만 말을 믿지 않았고, 천재적인 두뇌의 소유자였지만 지성을 증오했다. 시골에서 살아야 하고, 육체노동을 해야하며, 곡물과 채소를 먹어야 한다고 했다. 또 예술을 증오했으며, 죽음을 생각하는 삶을 살았다. 그의 이중적 성격과 병적일 정도의 도덕성에 대한 집착은 가정생활의 안정을 깼고, 결혼 생활에도 불행을 초래했다. 아내와의 불화는 말년까지 끊임없이 이어졌다.

석영중 교수님의 이책 <톨스토이, 도덕에 미치다>에서는 그가 주장한 나쁜 삶과 좋은 삶이 무엇인지 대조적으로 보여준다. 그의 방탕한 젋은 시절의 나쁜 삶과 도덕적인 삶을 살고자 했던 중년 이후의 삶을 그대로 이야기하는 바로 톨스토이의 극적인 삶 자체인 듯하다. 그의 작품 <안나카레니나>에서 안나가 비극적 결말을 이룰 수 밖에 없어던 이유는 단순히 그녀의 사랑이 불륜이라는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톨스토이는 안나를 죽임으로 인해 상류층 사회의 모든 생활 방식과 습관, 사랑과 연예 등 모든 것을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귀족으로 태어나 성공한 작가로 살면서도 끊임없이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를 고민했던 톨스토이..그가 주장한 내용의 일부는 다소 납득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지만, 그는 인간의 진정한 가치를 위해 고민했던 것이리라...또한 그 고민을 진정 실천코자 하였던 부분도 높이 살만하다. 그의 삶 자체가 소설이고, 톨스토이란 인간 자체가 극적이다. 앞으로 그의 또 다른 작품들을 읽을 때는 그의 인생관과 더불어 더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