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 시장 - 생명공학시대 인체조직의 상품화를 파헤친다
로리 앤드루스.도로시 넬킨 지음, 김명진.김병수 옮김 / 궁리 / 2006년 4월
평점 :
절판


끔찍해 보이는 표지가 인상적이다.

 

BODY BAZZAR

"나는 한때 인간이었으나 지금은 바코드가 찍힌 생명공학시대의 신상품이 되었다"

 

과학과 의학의 발전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건강하고 안락하게 살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해 주었지만, 모순적이게도 인간의 근본적인 존엄성 측면에서 그 가치가 점점 추락하고 있는 것이 아닐지 생각해 본다.

 

현재 가장 급부상하고 있는 생명공학...
우리에게 무지개빛 미래를 선사할 혁신의 학문인가, 아님 인체를 한낱 세포와 DNA를 가진 살덩어리로 그 가치를 추락시키고 있는 비운의 학문인가....
과학의 발전과 사회, 문화적인 측면의 충돌은 불가피해 보이지만, 이쯤에서 다시 신중하게 검토해 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얼마 전 봤던 <마이시스터즈키퍼>라는 영화가 떠올랐다. 
난치성 백혈병을 앓고 있는 딸아이를 위해 부모는 딸아이의 치료에 적합한 유전적 맞춤 아이를 한명 더 낳기로 한다. 그렇게 태어난 주인공은 태어난 이후로 제대혈, 백혈구, 줄기세포, 골수 등 자신의 몸의 모든 것을 언니를 위해 내어주게 된다. 병에 걸린 아이의 생명도 소중하지만, 유전적 맞춤으로 태어나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신체의 일부를 채취당하는 주인공의 인권은 어디에서 구해야 하는가? 
과학의 발달과 인간의 존엄성 사이에 빠진 딜레마를 잘 보여주는 이 영화 한편으로 많은 것들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  


 

과학과 의학이 함께 발달함에 따라 현대 사회에 새롭게 각광을 받고 있는 분야는 인체를 연구하는 생명공학이다. 신체 일부에서부터 세포, DNA까지 분석이 가능하게 되었고, 그렇게 분석된 신체의 일부는 상업적 목적으로 하나의 '상품' 가치를 가지는 세상이 되었다. 과학의 발달은 인간의 신체와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었지만, 인간의 가치와 생명의 존엄성 문제에서는 점점 퇴보를 하는 것 같기도 하다. 

 

강제로 장기가 탈취되어 살해된 사람들을 이야기, 난자 채취에 대한 윤리적인 문제, 백혈병 치료를 받고자 한 남자는 혈액 뿐만아니라 골수, 피부, 정액 샘플등을 채취 당하고, 실제 치료와 관계없는 각종 검사를 받아왔다는 이야기 등은 전에 뉴스에서 들어봤다. 또 지네틱스사의 연구와 같이 아이슬란드 국민 전체의 유전자가 연구목적으로 이용된 사례도 있었다. 내가 헌혈한 혈액이 어느 제약회사의 연구에 도용될지도 모르며, 병원에서 검사받는 내용들이 나의 치료목적 이외에 다른 용도로 쓰이고 있을지도 모르는 현실이다. 우리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혹은 스스로 동의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구대상이 될 가능성을 안고 살아가게 되었다.

 

생명공학 회사들은  피부, 혈액, 태반, 생식 세포 등 신체 조직을 추출하여 앞으로 경제적 이익을 낳을 엄청난 잠재력을 지닌 상품으로 변형시키고 있다. 뇌막은 피부이식에 쓰이는 약물로, 허벅지 근육의 얇은 막은 복원 수술용으로 팔린단다. 신체의 일부가 이용되는 예는 수없이 많다. 인체는 프로젝트란 명목으로 다양하게 연구되고 상품화되며, 이를 둘러싼 특허문제도 엄청난 건수에 달한다. 생명공학시대에 몸은 가치있는 특허와 시장에 내다팔 수 있는 상품, 그리고 유용한 정보의 잠재적 원천이 되었다.

 

또한 인체는 인간의 호기심을 충족하고, 표현하는 수단으로 인정 받아 뼈나 장기, 뇌 등이 그대로 박물관에 전시되기도 하며, 일부 예술가는 혈액, 머리카락, DNA 등으로 작품을 표현하고 있다. 이렇게 생명공학의 발달과 함께 사람의 몸은 기존과는 다른 방식으로 인격을 대변하고 있다. 쓰레기로 버려질 머리카락, 혈액, 침과 같은 부분들도 DNA 검사에 노출되면 개인의 신상정보 뿐만아니라 앞날의 성향까지도 예견할 수 있는 세상이다.

 

문제는 이런 과학기술의 발달이 현대의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만나, 인간의 가치를 한낱 상품으로 격하시키고 있고, 오용되거나 잘못 해석된 정보로 개인의 사생활에 치명적으로 상처를 입힐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의 궁극적으로 하고자하는 이야기도 바로 이것이다. 생명공학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그것을 경제적으로 악이용하려는 사회가 문제인 것이다. 따라서 신체를 이용한 행위들이 과연 어디까지 용인해야 하며, 인간의 가치를 어떻게 평가해야하는가의 문제가 제기된다. 과학의 발달과 함께 윤리적, 도덕적, 종교적, 문화적 측면에서의 충돌은 늘 제기되어왔던 것이며,  법적으로 아니면 제도적 장치로서의 제제할 방법이 거의 없다는 것이 현실적인 문제이다. 물론 제제할 방법이란 것도 과학적 관점에서 보면 부당한 것일 수 있다. 이것이 현대 사회가 직면한 딜레마인 것이다.

 

내가 이 책에서 조금 아쉬운 부분은 저자 두명 모두가 생명공학도가 아닌 법대와 사회학 교수라는 것이다. 따라서 여러 다양한 논점들을 사회적인 측면에서 서술한 경향이 많다. 물론 그들의 말은 모두 옳다. 하지만 한 문제에 있어 다양한 관점의 서술에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내 리뷰 또한 책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다 보니 생명공학의 부정적 측면이 다소 강조된 것 같긴 한다. 하지만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 될 사실은 생명공학은 인간만을 연구하는 학문도 아니며, 그것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면 인류의 복지와 발전을 위해 더 없이 유용한 학문일 수 있다는 것이다.

 

아 ..어쨌든 이 분야는 파고들면 들수록 더욱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내 리뷰 또한 오락가락 갈피를 못잡는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