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91
미셸 투르니에 지음, 김화영 옮김 / 민음사 / 2003년 11월
평점 :
가끔씩 내가 무인도에 홀로 떨어진다면? 이란 상상을 해봤다. 친구들끼리 우스개 소리로 무인도에 가게 되면 젤 먼저 뭘 가져갈꺼냐는 이야길 하기도 한다. 농담삼아 '머리빗하고 책...'이라 대답하긴 하지만, 무인도에 갈 이유도 없거니와 만일 홀로 그곳에 떨어진다는 생각만으로 소름이 끼친다. 아주 어린시절 그림책으로 봤던 <로빈슨 크루소>라는 이야기가 어렴풋이 떠오른다. 배가 난파된 영국인이 무인도에 표류하게 되면서 시작되는 이 이야기는 어린 내게 굉장한 공포감(?)을 주었다. 무인도에 혼자 떨어져 살아간다는 생각만으로도 끔찍했다.
만약 내가 이 책에서처럼 폭풍 속에 배가 난파되고 홀로 살아남아 무인도에서 깨어났다면, 홀로 살아남은 것이 다행스럽게 생각되지 않을 것 같았다. 홀로 살아가고자 하는 의지도, 탈출하고자 하는 의지도 잃어버릴 것 같았다. 공포로 미처버리거나 맥없이 죽는날만 기다릴지도 모르겠다. 나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게 될 것 같았다. 인간이란 타인이 있기에 자신의 존재성을 깨닫게 된다는 이 책속의 내용이 정말 뼈져리게 와닿았다.
로빈슨이 무인도에서 홀로 살아남았을 때, 처음에는 탈출하려 배를 만들고 갖은 노력을 다했지만 실패한다. 그는 좌절했고, 무력감에 빠졌으며 점점 동물적인 욕구로 젖어들게 된다. 자신이 미쳐가고 있다는 것을 느껴갈 즘 죽은 누이의 환영을 보고 서서히 정신을 차린다. 섬을 재건하기 위해 노력하고, 섬을 '스페렌자'라 부르며 자신을 그 섬의 총독으로 칭한다. 법을 만들고 인력, 시계 등의 지표를 만들며, 일지도 쓴다. '스페렌자'를 사랑의 대상으로 삼고 '스페렌자'와 결합하여 '만드라고라'라는 딸들도 만들어낸다. 하지만 그는 대지와의 결합으로 인간성을 점점 상실하고 자신이 원소화 되어 간다고 느낀다. 결국 그가 인간의 존재로 남아 있기 위해 필요한 것은 '타인'의 존재였다.
그때 로빈슨 앞에 처음으로 '타인의 존재'인 그 섬의 혼혈 원시인인 방드르디가 나타난다.
로빈슨은 방드르디를 길들이기 위해 노력한다. 방드르디는 처음엔 로빈슨에게 순종하지만 쉽게 길들여질 인물이 아니었다. 오히려 로빈슨이 그동안 구축해 놓았던 문명의 질서를 하나하나 파괴해나가기 시작한다. 방드르디는 로빈슨과 전혀 다른 이세계에 속해 있는 것 같았다. "방드르디는 실질적으로 일이라곤 전혀 하지 않았다. 과거와 미래의 개념이라곤 일체 알지 못하는 그는 오로지 현재의 순간에 갇힌 채 살고 있었다" 그를 복종시키려 할수록 파괴적인 결과를 초래했다. 방드르디는 로빈슨이 신성시 여기는 스페렌자 뿐만아니라 그의 마음까지도 서서히 침몰시켰다. 시간이 지나면서 로빈슨 자신이 방드르디의 원시 생활과 그의 모습을 닮아가고 있었다. 세상의 주축은 로빈슨이 아니라 방드르디로 자연스럽게 넘어가게 되는 것이다.
이 책은 미셸 투르니에가 다니엘 디포의 원작 <로빈슨 크루소>를 개작한 것이다. 미셸 투르니에는 디포의 원작이 지나치게 서구 백인의 기독교 중심적인 사상이라는 것에 충격을 받고, 소설 속 방드르디는 있으나마나 한 존재로 취급되고 모든 진리는 로빈슨의 입을 통해서만 전달되는 구조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주체를 변경해서 책 내용을 뒤집게되는데, 책의 제목처럼 방드르디를 주축으로 지금까지 '문명 중심'으로 읽혔던 로빈슨 크루소를 '원시 자연' 중심으로 바꿔 쓰게 된다.
하지만 문명과 원시라는 것을 이분법적으로 나누어 이야기하지 않는다. 물론 소설 초기엔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와 크게 다르지 않다. 폭발'이라는 결정적 계기를 만들어 기존에 이분법으로 나뉘어 있었던 문명과 원시를 완전히 뒤섞어 카오스 상태로 만들어버린다. 로빈슨과 방드르디는 서로 협력하고 의지해 살아가는 평등한 동반자가 되는 것이다.
방드르디를 만나기 전까지 로빈슨은 자신이 백인이라는 우월성, 그리고 서구문명과 기독교 사상이 최고라는 생각에 미개인인 방드르디를 억압하고 원시 자연을 자기 중심적으로 통치하려 생각했다. 하지만 방드르디와 원시 자연 생활에 차츰 동화되어 자신의 껍데기 뿐인 우월성과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허망한 사상들을 버리고, 자연인으로서의 진정한 자유를 느끼게 된다. 인간은 탈구조화된 자연 속에서도 존재의 본질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28년 후 문명 세계에서 온 '화이트버드'호가 구하러 왔을 때 그냥 섬에 남기로 한 그의 선택은 어쩌면 당연한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화이트버드호에서 온 문명의 사람들의 거친 행동, 물질적 욕망에 혐오감을 느낀 것이다. 어쩌면 그것이 28년 전 자신의 모습이었을 것이다. 그는 더 이상 문명인이 아닌 것이다. 그는 이미 원시 세계에 그 스스로가 동화되어, 화이트버드호의 입장에는 그 또한 방드르디와 다를 바 없는 원시인인 것이다.
난 이 소설의 결말이 왠지 마음에 들었다. 책을 읽어가면서 이런 결말이 오길 어렴풋이 예상했는지 모른다. 문명과 동떨어진 무인도에서의 생활이 끔찍하다 생각했지만(물론 그 마음은 지금도 크게 변하지 않았다.)..인간은 어쨌거나 환경에 순응해가며 살아가게 마련인가보다. 방드르디 앞에선 종교와 문화도 결코 우월한 것이 되지 못했다. 인간들의 소위 문명이라 말하는 한낱 형식과 틀이란 것이 위대한 자연 앞에서는 얼마나 보잘 것 없는 것인지 깨닫게 된다. 형식과 위선을 거스르며 자연에 순응하는 삶... 어쩌면 이것이 미셸 투르니에가 말하는 철학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