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고 쉽게 쓴 '시간의 역사'
스티븐 호킹.레오나르드 믈로디노프 지음, 전대호 옮김 / 까치 / 200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짧고 쉽게 쓰여진'.....

일반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을 다룬 책 치곤 매우 짧고 쉽게 쓰여진 것이 맞긴하다. 그런데 과연 누구나 쉽게 공감할 수 있을 만큼 쉬운가? 솔직히 이 분야에 특별한 관심이 있다거나 전공을 한 사람이 아니라면, 그리 쉽지 않을 것이다. 흔히 물리학에서 이야기하는 복잡한 수식이 빠져 있고, 빤딱빤딱한 종이에 그림을 많이 수록하여 얼핏 어렵지 않은 느낌을 주긴 했지만, 막상 책장을 넘기고 읽기 시작하면 그 내용이 만만치 않다. 물리학이나 천문학이라는 자체가 우리에게 매우 골때리는 학문으로 인식되어진 데다가, 자연과학이란 분야가 웬지 우리 세계와 멀리 떨어진 학문인 것 같이 여기기 때문이다.

 

우주 물리학자로 유명한 스티븐 호킹 박사, 그는 우리가 속해 있는 우주와 시간과 공간이라는 것, 그리고 우리가 살고 있는 흐름에 관련된 것들을 물리학 법칙으로 쉽게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것이 바로 이책 <시간의 역사>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서 프톨레마이오스에 이르기까지 구축된 우주 모형과 현재 많은 부분에서 이슈가 되는 뉴튼와 아인슈타인 이론 등에 대해 각각의 원리와 한계점 그리고 각각의 이론들이 추구하는 목적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시도하고자 하는 것은 우주 전체를 단일화하려는 이론의 정립이다. 이른바 대통일이론(GUT : grand unified theory)이라고 하는 것으로 그동안 세계관을 구축했던 많은 이론들을 단일화하려는 노력이다. 그 중심이 되는 두가지 축은 일반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이며, 대통일이론을 현실화하면 과거에는 없었던 새로운 가능성이 열릴 것이라 예견한다.

 

하지만 현재로선 대통일이론이란 것은 매우 불가능하다. 우주 전체를 기술하는 모든 이론은 수학적으로 너무 복잡해서 정확한 예측결과를 추정해낼 수 없으며, 그 예측을 끌어낸다 하더라도 실험적으로 재현하기 어려운 맹점이 있다. 이밖에도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호킹 박사는 이 이론을 발견한다면 머지않아 모든 사람들이 그 이론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 했다. 그렇게 되면 철학자들과 과학자들 일반인 모두가 우주가 왜 존재하는지에 대한 토론을 할 수 있단다. 그 질문에 답을 발견한다면, 그것은 인간 지성의 승리이고, 그것은 신의 마음을 알게 될 것이기 때문이란다.

 

일반인들도 우주 원리에 대해 과학자들과 토론할 수 있을 거라고? 과학계에 찬물을 끼얹고 싶은 마음은 없지만 호킹박사의 꿈도 야무지시다. 물론 대통일이론인지 뭔지 끌어낼 수 있다면 과학계에 혁명이 일어날 것이란 것은 알겠다. 하지만 우리 모두가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는 과학이론이란 것에 의문이 든다. 솔직히 대통일이론 이전에 일반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 또 그외 약력, 전자기력, 양자중력 등등 각각의 이론과 원리를 이해하는 데도 공학을 전공한 나조차 버버버벅대는데, 일반인 모두가 이해하고 토론할 미래가 올지 의문이다. 밝은 미래에 대한 회의가 아니라 현재 과학이란 학문이 우리 사회에 위치하고 있는 괴리성에 대한 회의이다.

 

사회과학이나 경제학 분야는 웬지 우리가 생활하는 데 피부에 와 닿게 느껴지는 것이 많고, 철학 또한 동떨어져 보이는 듯 하지만 인간 본성에 대한 본능적인 성찰로 하여금 학문에 몰두하게 만든다. 예술도 많이 대중화되어 즐기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간다. 하지만 자연과학 분야는 점점 일부 특정인들만의 탐구인양 현실세계에서 점점 고립되어 가는 것 같다. 과학기술이 발달해야 나라의 기반이 잡히고 선진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자연과학이란 학문의 괴리감은 점차 커져가는 것 같다. 공부하는 학생들 조차 점점 과학을 기피하고 멀리하니 정말 큰일이 아닐 수 없다는 생각이 든다.

 

호킹 박사가 일반일들을 위해 내놓은 이 책 <시간의 역사>도 좀더 쉽게 우리에게 우주 물리학 법칙을 이해시키고, 과학이란 학문에 관심을 갖길 바라는 마음에서 쓰셨을 거다. 같은 제목에 <그림으로 보는 시간의 역사>도 있다. 일반인에게 다가가고자 하는 과학자의 마음이 엿보인다. 내가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학생들이라도 좀더 과학에 관심을 갖길 바라는 마음이다. 이렇게 과학책을 읽고 리뷰를 쓰고 과학에 대한 포스트를 올리는 것은 물론 내가 좋아서가 가장 큰 이유지만, 누구나 과학이란 분야를 접근하기 쉽게 만들기 위해서이다. 방학숙제 또는 필요에 의해서 우르르 몰려왔다 줄거리만 베끼고 갈 것이 아니라, 차분히 과학책을 직접 읽어보고 생각을 넓히려는 노력을 조금 더 해줬으면 좋겠다.

 

이제 우리나라도 우주선을 띠우고 우주로의 항해에 다가설 날이 머지 않았다. 그저 바라만 보고 구경만 할 것이 아니라, 조금더 관심을 갖고 과학적인 접근과 열린 생각을 키워갔으면 하는 바램이다.

블랙홀, 웜홀과 시간여행... 그 주제만으로도 꽤 흥미롭지 않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