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인 섹스 - 일하는 뇌와 사랑하는 뇌의 남녀 차이
앤 무어.데이비드 제슬 지음, 곽윤정 옮김 / 북스넛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난 '여자답다' 라는 말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여자답다는 것'이 뭔데? 특히나 어릴 때부터 어른들이나 주위 사람들에게 귀에 딱지가 앉도록 지금까지도 혼나고 잔소리 듣는 말이기에 이젠 질렸다. '기집애가 기집애다운 맛이 없다는 둥' ' 저렇게 자라서 큰일이라는 둥' '무슨 여자애가 그러냐 는 둥' ' 너 여자 맞느냐는 둥' 등등...이런 소리는 이제 질림을 넘어서 그 말자체를 초월했다. 더 이상 그 잔소리는 내게 어떤 반응도 일으키지 않는다. 내가 그런 소리를 자주 듣는다는 것은 내 자신이 여성성으로서 가지고 있어야할 보편성이 많이 부족하다는  것이고, 사회에서 요구하는 여성향에서와도 거리가 멀다는 것일 꺼다.

 

그렇다면 우리가 보편적으로 이야기하는 여성성과 남성성은 어떤 것일까?  난 오래전부터 관습적으로 내려오는 인위적인 틀이 아니었을까'라고 생각했다. '자고로 여자는 어때야 하고 남자는 어때야 한다'는 말과 같이...  그 여성성과 남성성의 성향을 이분법적으로 나누어 고정시켜놓은 듯한....물론 여성성이나 남성성이란 것이 어느 정도 본능적인 성향이 있다는 것은 안다. 하지만 난 사회생활을 하면서 사회가 원하는 방향으로 그 이분법적 성향이 점차 굳어진다고 생각했다. 그러니까 여성은 여성답게, 남성은 남성답게 길들여지고 키워진 것이라 여겼다.

 

내가 보편적 여성적 성향에 드러맞지 않는 이유도 있지만, 난 그런 이분법적 편견을 싫어한다. 그래서 사실 이런 책들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화성남자 금성여자를 비롯하여, 여성과 남성이 다름을 보여주는 많은 책들말이다. 사회는 점차 성의 분화가 모호해지고, 특별한 성을 요구하는 직업또한 점차 사라지고 있다. 언제까지 우린 남성과 여성을 딱 나누어 그 이분법적 성향을 고집해야하는가? 이런 나의 생각은 나의 '되먹지못한 여성성'을 나름 사회적 생물학적으로 시대 흐름에 맞게 진보한 개체라고 말도 안되는 억지스런 나의 이론으로 정당화시키고 있었다. ㅎㅎ

 

하지만 분명 여자와 남자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생물학적으로도 물론 다르고, 능력이나 성향이 발현되는 분야가 다르다. 후천적으로 '~~답게' 길러지기도 하고, 능력을 개선시킬 수도 있지만, 근본적으로 여성이 남성을 그리고 남성이 여성을 뛰어넘지 못하는 분야가 있다. 그것은 무엇 때문인가? 이책은 좀더 과학적인 분석방법으로 접근하고 있었다. 그것은 바로 ''이다. 내가 이 책을 선택한 이유는 좀더 해부학적으로 근본적인 차이점을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흔히 봐오던 여성성과 남성성의 외부적인 차이를 읆는 다른 책들과는 달랐다. 또한 이 책에서 밝히고 있는 것은 후천척인 사회적 영향은 거의 미미하다고 본다. 다시 말하면, 우리에게 부여된 남성성과 여성성은 엄마의 자궁속에서부터 이미 결정된다는 것이다. 그것은 바로 뇌 자체가 성에 따라 다르게 발현된다는 것이다.

 

흔히 생물학적으로 이야기하는 XX,와 XY가 남녀의 구분을 한다고 생각하지만, 여성성과 남성성을 구분짓는 원인은 유전자가 아니라 호르몬이며, 호르몬은 결국 뇌의 영향을 받는 것이다. 호르몬의 메커니즘은 극단적으로 다른 여성과 남성의 뇌를 형성하게 한다. 따라서 만일 XY를 가진 태아라도 여성호르몬의 영향을 받으면, 여자 같은 남자로 태어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여성과 남성의 전혀 다른 호르몬과 뇌의 메커니즘은 동일한 환경, 동일한 자극에도 서로 다르게 반응한다. 남녀의 성향이 달라지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이러한 전제는 모든 성염색체 이상의 병증이나 동성애 성향까지도 모두 설명이 가능하다.

 

결국 우리의 뇌가 구성되어 있는 방식 때문에 서로 다르게 문제를 인식하여 다른 가치를 부여하면서 세상을 다른 방식으로 본다는 것이다. 이 책은 남녀의 정서, 능력, 감각, 대인관계의 모든 차이를 바로 뇌를 형성하는 호르몬과 그 메커니즘으로 설명하고 있다. 모체에 이상이 생겨 스트레스를 받으면 호르몬의 불균형이 생길 수도 있고, 모체의 임신중독증이나 당뇨의 발병을 약화시키기 위해 투여한 호르몬이 태아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그래서 실제 태아의 유전자와 다른 호르몬의 영향으로 다른 성향의 뇌가 발현된다. 또한 이 책엔 태아의 여성성과 남성성을 호르몬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다르게 만들 수 있다는 이야기까지 한다. 태아의 성향을 인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나의 뇌도 내가 태어나기 전부터 어떤 호르몬의 영향으로 다소 여성적인 어떤 보편성을 잃어버렸을 가능성이 있다.ㅋ 이 책에 나오는 보통 남성들의 보편성이 내게 많이 적용된다는 것과 간단한 뇌의 성별테스트의 결과에서도 여성성이 아니라 여성과 남성의 중간 형태의 결과가 나온다는 것은 크게 놀랄일도 아니다. ㅎㅎ 결국 난 태어날때부터 그렇게 생겨먹은 것이기 때문에 그 성향이 부모님이 잔소리하신다고 쉽게 고쳐질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