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들어진 신 - 신은 과연 인간을 창조했는가?
리처드 도킨스 지음, 이한음 옮김 / 김영사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을 하다보니, 과학과 종교가 엄연히 다른 역할과 목적이 있을진데, 서로의 발전을 저해하는 끊임없는 충돌을 빗어왔음을 알게 되었다. 천동설과 지동설부터 현대에 줄기세포 문제에 이르기까지..하지만 그 대표적인 사례는 뭐니뭐니해도 '창조론'과 '진화론'이었다. 난 실증과 발견으로 이론을 추적해가는 '진화론' 쪽에 신념을 두고 여러가지 책들을 봐왔다. 나의 좁은 과학적 소견으로는 진화론의 미흡한 부분을 반박하고, 부정하는 학자들은 많지만, 진화론을 부정한다고 해서 그들이 모두 창조론을 지지하는 것은 아니었으며, '창조론'의 근거는 종교라는 관점 즉, 기독교가 없으면 존재할 수 없는 이론이었다.

진화론의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 '자연 선택설'의 모호함이라던가 근거할 만한 화석의 발견이 부족하다는 즉, 논증을 확실히 보여줄만한 연결 증거가 부족하다고 한다면, 창조론을 지지해 주는 '신'의 존재는 과연 확실한가? 이 부분에 대해 해석이 필요했다. 내가 의심을 갖는 것은 종교에 대한 불신보다는 설명되지 않는 모든 것들을 '신'에게 미뤄버리는(?) 논리가 실증적인 사고방식에 익숙해진 내겐 이해가 안됐다. 창조론의 핵심은 바로 '신'이다. 신의 존재가 논리라고 설명한다면, 그 논리 역시 이해가 가지 않았다. 또 사람들은 그 이해가지 않는 모든 일들을 맹목적으로 확신을 갖고 믿는다는 사실 역시 혼란스러웠다. 뭘 믿는 것일까? 신을 믿는 것일까? 신이 있다는 믿음을 믿는 것일까?

이 모든 부분에 대해 관심이 생겼고, 설명해 줄 조언자가 필요했다. '창조론'쪽에 더 의심을 두고 있었기에, 난 먼저 리처드 도킨스란 과학자를 통해 이 모든 의심을 확인받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도킨스는 진화론자이자, 그것을 넘어 신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과학자로 유명하다. 그는 종교에 대해 꽤 비판적이다. 종교는 인류에게 복종과 망상, 더 나아가 살육과 분열을 일으키기도 한단다. 이 책은 그의 과학에 대한 애정과 가치관을 포함하여 모든 과학 분야를 넘나들며 지식의 총체를 종교에 대해 불신하는 그의 신념이 담긴 책이다.

그는 신의 존재를 '과학적 가설'이라 설명한다. 창조론에서 이야기하는 "우주와 우리를 포함하여 그 안의 모든 것을 의도를 갖고 설계하고 창조한 초인적, 초자연적 지성이 있다."는 말을 정면으로 공박한다. 신의 존재와 종교를 옹호한 철학자들의 논증이나, 성경의 구절을 조목조목 따져 가면서 반박하고, 그 논제들의 빈약함을 가차없이 비판한다. 또한 종교가 우리 사회에 미친 불순한 역사적 사건들을 거론하고, 종교의 이름 하에 행해진 인간의 악행을 들춰낸다. 종교의 발달사 또한 다위니즘으로 설명하고, 모든 것에서 종교에 대한 불신과 신의 존재를 부정한다. 결국 종교에서의 탈피를 권고한다. 이 책속에서 도킨스는 스스로 무신론자임을 자청하고, 이 책의 목적이 지적인 무신론자를 만들기 위함임을 너무나도 확실히 보여주고 있다.

도킨스가 의도한 이 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신의 진화론을 관철시키기 위해 창조론을 부정하는 것으로, '신은 과연 인간을 창조했는가?'에 대한 물음이다. 신이 인간을 창조한 것이 확실하지 않다면 창조론은 당연히 붕괴되는 것이다. 하지만 '신'을 부정하기 위해 종교를 너무 부정적인 관점으로 몰아가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신을 믿는 것이 종교라고도 할 수 있겠지만, 인간이 살아가는 데 있어서 마음의 안식처나 작은 희망마져 '종교적 망상'이라고 몰아가기엔 그것이야 말로 너무나 비인간적인 일 같이 느껴지기도 한다. 또한 무신론자로서 인간의 생명이 유한하다는 사실을 염두해 두지 않는 것 같다. 난 유신론자, 소위 말하는 기독교신자는 아니다. 하지만 보이지 않는 초월적인 무언가가 나를 지켜주고 있다고 믿는다. 그렇기에 어렵고 힘들 땐 마음속으로 기도도 하고, 또 사랑하는 나의 똘이도 어디 좋은 곳에서 행복할 것이라 믿는 것이다.

이 책 <만들어진 신>을 통해 솔직히 나의 과학적 소견과 종교적 의심에 대해 해답을 얻었다고 말하긴 어려울 것 같다. 하지만 이 책의 견해들이 부정적으로 다가오는 것은 아니다. 종교를 넘어서 유신론자든 무신론자든 한번 쯤 읽어보면 좋을 책이라 추천하고 싶다. 또한 나처럼 과학적 견해에 호기심을 같는 사람이라면 더욱 흥미롭게 읽힐 것 같다. 그가 무신론자든 유신론자든 관계없이 난 도킨스란 과학자를 무척 존경스럽게 생각한다. 이 책 이후에 읽고 싶은 책이 두권이나 더 생겼다. 하나는 도킨스가 이 책속에서 끊임없이 인용했던 칼세이건의 <cosmos>와 이 책을 반박한 알리스터 맥그래스의 <도킨스의 신>이다. <도킨스의 신>까지 모두 읽은 후 이 책을 다시 한번 또 읽어볼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