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안의 물고기 - 물고기에서 인간까지, 35억 년 진화의 비밀
닐 슈빈 지음, 김명남 옮김 / 김영사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근원은 무엇인가? 굉장히 궁금하고, 인간으로서 어쩌면 당연히 알고있어야 하는사실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명쾌한 해답이 없다. '창조론'이냐, '진화론'이냐.. 의견은 분분하다. '어느날 갑자기 창조되어 떨어졌다'라는 것보다 '뭔가로부터 서서히 발전되었다'라는 눈에 보이는 실체를 더 믿는 나로선 진화론을 더 믿는 경향이 있지만, 이 분야에 대해 뭔가 지식을 습득할수록 나의 지식과 신념은 점점 더 모호해지기만 한다. 이 책은 창조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에겐 섭섭한 이야기지만 철저하게 진화론을 믿는 학설이다. 인간의 근원을 물고기에서부터 찾고있으니 말이다. 그 근원을 찾고자 고대 화석에서부터 DNA 유전자 실험까지 수많은 연구를 한다.

어릴 때 생물책에서 생물 발생이 시작할 당시의 사진을 본 기억이 있다. 어류, 파충류,조류,포유류 모두 발생초기 형태는 꼬리비슷한 것이 달린 올챙이 같은 모두 비슷한 모양이었다. 그 배아세포가 점차 분열단계를 거쳐 기관이 만들어지고 각자 개체의 형태로 별현되어 각기 다른 생물이 되겠지만, 그 사진을 보면 모든 생물의 근원은 하나의 어떤 것이 아니었을까 생각하게 한다. 물론 그 초기 개체에서 점점 발달하고 진화하여 인간이 되었다고 설명할 수 있는 근거는 없다. 다양한 변이와 수많은 개체의 발달을 거쳐 어딘가에 인간과 관계된 연결고리가 있지 않을까 추척하고 추론할 뿐이다. 그 연결고리, 즉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잃어버린 고리(missing link)'를 물고기에서 찾을 수 있는가? 이 책은 그것에 대해 다양한 생물학적, 해부학적 근거를 들어 추적해간다.

모든 생물체가 물에서부터 생겨났다는 데에서는 많은 과학자들이 의견의 일치를 보인다. 그럼 물에서부터 어떻게 육상생물이 생겨났으며, 인간은 어떻게 변화되고 진화된 것일까? 그것에 대해 연구하던 중 저자는 '틱타일릭(Tiktaalik)'이란 고생물화석을 발견하게 된다. 이 고생물은 아가미와 비늘이 있다는 점에서 물고기와 같지만, 지느러미가 뼈로 되어 있으며, 상완골을 지닌, 그리고 더 놀랄만한 것은 폐를 지닌 물고기라는 점이다. 이 화석은 육상동물과 어류의 중간에 해당하는 즉, 물에서부터 육상생물로의 진화과정을 보여주는 증거였다.

이 화석의 발견을 근거로 더 많은 화석을 찾아 연구했으며, 화석 뿐만 아니라 DNA 검사 등 생물 진화에서 공통적으로 생겨나는 유사점을 찾기 위한 연구가 계속 되었다. 어류 지느러미가 어떻게 포유류의 손과 같은 모습으로 발달할 수 있는가에 대한 DNA 연구를 통해 '소닉헤지호그'라는 몸의 한부분을 다른 부분과 구별짓게 하는 유전자를 발견했고, 그 결과 어류의 지느러미 발생에 관여했던 유전자들이 손과 발가락을 지닌 유전자로 발현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한 만골트는 실험을 통해 모든 생물에 공통으로 있는 '형성체'의 존재를 발견했는데, 닭의 형성체에 도룡뇽 배아를 이식하면 도룡뇽이 생겼다. 즉, 모든 생물들은 해부학적 뿐만아니라 유전적으로도 관련이 깊다는 것이다.

진화의 증거를 찾기 위해 뼈부터 신경에 이르기까지 너무 복잡하고 조금 깊게 들어가는 내용이 조금은 어려웠지만, 인간 진화의 근거를 여러 다양한 생물에서 찾고 추적해가는 과정은 참 흥미로웠다.(상어나 홍어, 말미잘, 해파리까지...) 또, 인간이 하는 딸꾹질이나 질식 그리고 수면 중 무호흡 증상도 올챙이나 어류에서 온 진화의 증거라는 사실도 재미있었다. 즉, 인간은 미생물에서부터 시작해서 어류, 양서류, 파충류, 등등을 통해 인간으로 점차 진화해 왔다는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진화론의 한 학설에 대해 재미있게 알게 되었다. 하지만 이 책의 지식을 모두 받아들여 진화론이 모두 옳다고 결론지을 수는 없다. 아직까지 확실히 설명되지 않는 모호함은 여전히 남는다.  저자 또한 틱타일락이 '잃어버린 고리'냐는 물음을 자주 받는다고 한다. 하지만 그것을 발견하고 연구한 그 조차 틱타일락이 '잃어버린 고리'라기보다 '찾아낸 고리'에 더 가깝다고 말하는 것만해도 설명하기 쉽지 않다고 한다. 그만큼 어느 학설도 아직 명쾌한 답을 갖고 있지 않은 것이다. 어쨌든 이 책으로 진화론의 한 일면으로 굉장히 흥미있게 읽었다는 데 만족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