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3년의 핀볼 - 무라카미 하루키 자전적 소설, 개정판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윤성원 옮김 / 문학사상사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명을 갖고 살아있다는 것은 참으로 소중하고 의미있는 일이다. 하지만 ’죽음’이라는 것이 이토록 허무한 일임을 전에는 미처 깨닫지 못했다. 그토록 쉽게 삶을 끝낼 수 있는지.. 그리고 그렇게 쉽게 한줌의 재로 흔적도 없이 사라질 수 있는 것인지..슬프면서도 안타깝다. 얼마 전 내 생애 죽음으로 인한 ’상실’을 처음으로 느껴봤기에 그 충격은 생각보다 컸다. 평소와 다름없이 출근해서 일하고 있고, 출퇴근 시간에는 여전히 책을 붙잡고 있지만 내 생각의 대부분은 죽은 ’그녀석’에게로 향한다. 같은 페이지를 여러번 다시 읽어야 겨우 한페이지를 넘길 수 있다. 그래도 책 읽는 것만큼 내 자신이 편안해지는 시간은 없다. 친구와의 약속도 모두 취소했다. 당분간은 이렇게 고립된 일상 속에 스스로 안정을 찾을 생각이다. 

세상을 살아가는 누구나 고독하고 방황한다. 내가 지금 느끼는 이 상실감도 결국은 내가 세상을 살아가면서 느끼는 작은 ’지남’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비록 지금은 고통스럽지만 결국 애틋한 그리움으로 남게 될 것이다. 내가 하루키 소설에 심취하는 이유 중의 하나는 그가 세상을 바라보는 그리움 때문이다. 그 그리움은 다소 공허하고 쓸쓸하지만 웬지 모르게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왜냐하면 그리움과 공허함 속에는 작고 희미하지만 약간의 희망의 빛을 품고 있기 때문이다. 그 희망이라는 것이 지나친 바램이나 기대가 아니라, 다소 현실적이고 어떻게 보면 너무나 작은 빛이라 자칫 모르고 지나갈 수 것이기에 더 큰 상실감을 느끼기도 했지만(소설 속 이야기에서의 기대치는 현실에서보다 더 크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그것이 하루키 소설의 매력이라는 것을 안다.

이 소설 속에도 두 남자가 등장한다. 주인공 ’나’와 ’쥐’이다.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라는 하루키의 전작을 읽었기에 책속 배경과 생각들이 그대로 이어져 전해졌다. ’전작’에서 시간이 5년쯤 흘러 둘다 이십대 중반이지만 여전히 방황하는 젊은 영혼들이다. 주인공 ’나’는 몇년전 죽음으로 연인을 잃은 상실감에 핀볼에 탐닉하며 과거 속에 머물러 살며, ’쥐’ 또한 소설가로서의 자기 자신을 찾기 위해 고뇌한다. 결국 그 둘은 그들을 옥죄고 있었던 과거와 현재의 덫에서 스스로 출구를 찾아 떠나는, 다시말해 스스로 과거의 아픔과 화해하고 현재의 환상에서 벗어나는 과정의 이야기를 잔잔하게 그리고 있다. 

주인공 ’나’가 핀볼 기계를 통해 과거의 죽은 그녀와 재회하는 장면은 눈물이 나올만큼 슬펐다.  내 사랑스런 ’그녀석’의 똘망똘망한 눈망울을 다시 마주할 수 있다면..정말 그럴 수 있다면...하는 생각만으로도 눈물이 났다. ’그녀석’을 보낸지 얼마 되지 않아 난 아직도 습관적으로 그녀석 이름을 부르고 혼자 무의식적으로 그녀석에게 중얼거리며 떠들기도 한다. 마치 옆에 있는 것처럼. 되돌아오는 대답은 아직 못들었지만 지금쯤 좋은 곳에가서 마음껏 뛰놀고 있는 상상을 한다. 시간이 아주 많이 지나야 그녀석’의 죽음을 아무렇지도 않게 받아들이겠지만.. 지금은 마음이 많이 편안해졌다. 그녀석은 분명 행복할테니깐...


입구가 있으면 출구가 있다. 대부분은 그런 식으로 되어 있다. 우체통, 진공청소기, 동물원, 양념통. 물론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예를 들면 쥐덫 <p.20>


1973년 9월, 이 소설은 그때부터 시작된다. 이것이 입구다.
출구가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만약 없다면 글을 쓰는 의미가 전혀 없게 된다. 
<p.35>


’입구가 있으면 출구가 있다’라는 이 말이 강하게 내 마음을 울렸다. 지금 내 상태가 다소 침체되어 있고, 갑갑한 쥐덫 속에 갖힌 느낌이지만 조금씩 조금씩 출구를 향해 나아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