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책마을을 가다 - 사랑하는 이와 함께 걷고 싶은 동네
정진국 지음 / 생각의나무 / 200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서점이 점점 대형화 되고 인터넷이 활성화 되면서 곳곳에 작은 서점과 대여점이 점점 줄고 있다. 세계적으로 학구열하면 손꼽히는 우리나라지만 입시 위주의 교육 현실이다 보니 독서에 대한 중요성은 이성적으로 인식하고 있어도 현실적 독서문화라고 하는 것은  열악하다. 책을 읽는 사람이 많지 않다는 것.. 그리고 책을 읽을 수 있는 환경도 많지 않다는 것이다. 헌책방이라는 것은 거의 사라져가고 있고, 헌책방'이라는 인식은 책을 사고 또 읽을 수 있는 편안하고 쾌적한 공간이라기보단 마구잡이 책들을 그냥 쌓아 놓은 듯한 번잡함과 답답함이 느껴진다.

사실 책을 좋아한다는 나또한 직접 헌책방을 찾는 일은 거의 없다. 그저 온라인으로 모든 것을 한번에 해결한다. 그래서 책을 검색해서 보는, 다소 독서의 진정한 '골라보는 기쁨'을 조금 떨어뜨리는 작용을 한다. 어쨌거나 자발적으로 책을 읽기를 원하는 나와 같은 몇몇 매니아'층은 온라인이든 대형서점이든 관계없이 책을 구해 읽겠지만 독서에 그다지 열정적이지 않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실 자연스럽게 책을 접할 수 있는 공간이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그런 의미에서 가본적은 없지만 '유럽의 책마을'이라는 곳은 말만 들어도 매혹적이다. 굳이 책을 읽거나 구할 목적이 아니어도 웬지 관심이 생기니 말이다.

오프라인 서점들이 점점 줄어드는 현실은 우리나라 뿐만의 이야긴 아닌 것 같다. 하지만 유럽에서는 벌써 오래 전부터 '책마을'이란 것을 만들어 활성화 하고 있다. 한 마을을 정책적으로 문화 마을로 만들어 키우는 것이 바로 '책마을 '이었다. 주로 농촌 지역의 몇개의 헌책방 중심으로 활성화 되어 있는데, 획일적이고 마구잡이로 헌책을 모아놓고 파는 것이 아니라 각 마을의 특성에 맞게 꾸미고, 주기적으로 축제를 열어 주위의 명사들이나 구하기 힘든 희귀한 고서적들도 모이게 된다. 그 축제와 행사 자체가 문화적인 명소가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농촌으로 갈수록 서점은 더욱 보기 힘들어지는데...국가가 정책을 잘 펼친 것 같다. 농촌과 책문화를 동시화 활성화시키니 말이다.
이 책은 작가가 10년 동안 유럽의 책마을을 돌아다니며 보고 느낀 것을 옮겨놓은 것이다.

한 마을이 책을 위한 문화적 명소이기도 하지만 각각의 고서점에서 느낄 수 있는 낭만도 인상깊은 점 중의 하나다. 책 뿐만 아니라 서점 자체도 옛것을 활용한 곳도 많았다. 기차역을 이용한 스위스의 고서점이나 지하 벙커를 활용한 독일의 서점이 그 예이다. 평화로운 농촌 풍경과 더불어 편안함과 여유가 느껴진다. 서점 자체가 문화가 되는 것이다. 마치 책과 함께 옛날로 자연스럽게 거슬러 올라가는 느낌이 들 것 같았다. 작가가 어느 스위스 작은마을에서 엘라 미야르의 사집집 속에 담긴 일제시대 조선의 한 여인의 사진을 보며 역사의 과거를 떠올려 보는 일과, 100여년 전 책 속에 끼워진 노란 꽃잎파리 하나에서 한세기를 넘어서 책주인과 느끼는 공감대는 말할 수 없는 감동이었다. 또한 프랑스에서 발견한 프랑스어로 번역된 명성황후의 이야기 '운현궁'을 발견하는 기쁨은  유럽의 고서점에서 발견하는 또 하나의 횡제였을 것이다.

책을 좋아하는 한 사람으로서 이렇게 옛것을 소중히 하고 보존하는 문화가 활성화되고 있다는 사실에 웬지 뿌듯했다. 우리나라에도 유럽과 같은 책마을이 많이 생겨났으면 하는 바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