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도를 기다리며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3
사무엘 베케트 지음, 오증자 옮김 / 민음사 / 2000년 11월
평점 :
지독한 권태와 지루함에 못견딜 정도로 괴로워 본 적이 있는가? 비교적 홀로 있는 시간을 그다지 나쁘지 않게 생각하는 난 책을 읽기도 하고, 연주 동영상을 보거나, 애니메이션을 즐기기도 한다. 그 세 가지 중 한 가지에 빠지면 시간은 잘 간다. 보고 있는 책이 재미가 없으면 다른 책을 고르고, 책 읽는 일에 지치면 애니메이션을 틀어 본다. 그렇게 뒹굴뒹굴 보내면 어쨌든 시간은 잘 간다. 하지만 그렇게 정적으로 활기없이 보내는 시간을 돌이켜 생각해 보면, '난 뭐하며 사는가' 싶을 정도로 재미없고 지루한 일상이다. 삶 자체가 바로 권태가 되어 버리는 거다.
이 책의 내용이 그렇다. 책 속의 두 주인공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은 오직 고도를 기다리기 위한 일 외엔 의미있는 일이 없다. 고도가 누구인지, 어디서 오는지, 언제 오는지, 왜 오는지 전혀 설명되어 있지 않다. 그냥 고도를 하염없이 기다리는거다. 그가 오면 어떻게 해야 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고도는 오지 않는다. 별다른 사건도 일어나지 않고 한 소년이 나타나 고도가 오늘은 오지 않고 내일 올 것이라고 전하고 간다.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은 끊임없이 고도를 기다리며 시간을 죽이고 있다.
그 둘이 시간을 죽이기 위해 하는 일들은 서로 질문하기, 되받기, 욕하기, 운동하기, 장난하기, 춤추기 등이다. 또 급기야는 목을 매서 자살하는 공상까지 한다. 서로 이야기도 나누는데, 그 내용은 아무런 의미를 갖지 않는 것들 뿐이다. 그런 가운데 럭키와 포조라는 인물들이 그곳을 지나가지만 그들도 권태롭기는 마찬가지다. 1막을 읽을 때까지 너무 지루해서 책을 덮을까 몇번을 망설였는지 모른다. 하지만 2막에서도 달라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 1막과 똑같은 행동과 대화들이 반복된다. 단지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이 럭키와 포조의 행동을 똑같이 따라 연극하는 어처구니 없는 일들을 한다. 지루하기는 마찬가지다. 굳이 1막과 2막을 나누어서 똑같은 내용을 반복하는 이유도 알 수 없었다.
이런 작품은 처음이었다. 내용도 없고, 줄거리도 없고, 어떤 사건이나 갈등도 없다. 그렇다고 특별한 배경이 있는 것도 아니다. "시골길, 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이것이 끝이다. 2막의 시작도 "이튿날 같은 장소" 이다. 작품 자체가 권태며, 지루함이었다. 고도가 언제 올까 나 또한 고도가 나타나기를 기다리다 지쳐버렸다. 작품은 고도를 기다리다가 그냥 끝난다. 아마 3막이 있었어도 고도를 계속 기다리는 상황이 반복되었을 거다. 그들의 행동과 대화 속에서 뭔가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며 굉장히 신경써서 읽었었는데.. 사실 그들의 행동이나 대화 자체에 큰 의미를 둘 필요는 없었다. 그냥 어처구니 없는 일들의 반복이었다. 하지만 이 어처구니 없는 허무함 속에 바로 인간의 삶이 있었다는 것을 이 작품을 다 읽고 난 후에야 뒤늦게 깨닮았다.
고도가 누구인가? 언제 올까? 처음에는 그런 기대로 책을 읽기 시작했지만, 중요한 것은 그것이 아닌 것 같다. 고도가 누구이든 언제 오든 상관 없었다. 우리네의 인생 자체가 길고 긴 기다림이고, 언제 올지 모르는 막연한 희망 .. 즉, 이 책에서 말하는 고도와 같은 존재를 마음 속에 두고 살아가는 것 같다. 그 하나만 가지고도 삶을 지탱할 큰 의미가 생기는 것이다. 설사 그것이 오늘 오지 않았다고 실망할지 모르지만 그 실망은 다음날 다시 새로운 기대와 희망으로 또 다른 기다림의 의미를 갖게 한다. 그래서 우리는 매일 반복되는 일상과 권태 속에서도 하루하루를 지나며 살아가는지도 모르겠다.
끝으로 아쉬웠던 점은 두 주인공들이 막연히 고도를 기다리기보다 스스로 고도를 찾아 떠났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막연한 기다림보다는 스스로 이상과 희망에 가까이 가도록 노력하는 것을 보여주는 삶... 이것 또한 인간의 바람직한 삶이 아닐까 생각했다. 나 또한 책을 읽는 것도, 음악을 듣는 것도 그리고 애니메이션을 즐기는 것도 모두 나의 삶의 즐거움과 활력소가 되는 것들이긴 하지만 이젠 좀더 활기있는 그리고 몸을 움직여 즐거움을 찾을 수 있는 것들도 도전해 봐야 겠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단순히 주어진 현실에 맞춰 사는 삶보다 뭔가 내가 할 수 있는 여러가지 다른 일들을 찾고, 나의 능력을 향상시켜 나갈 때 내 삶이 좀더 발전적이고 활기차게 되지 않을까 생각했다.
또한 어딘가에 있을 내가 찾는 고도도 그리 멀리 있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