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귀족의 은밀한 사생활 - 탐미의 시대 유행의 발견, 개정판
이지은 지음 / 지안 / 2006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책 제목만으로도 웬지 호기심이 느껴졌다. 같이 퇴근하는 회사 동료가 책제목을 보더니 묻는다. ’이거 19금책 아니에요?’ ㅎㅎ 물론 나도 호기심에 고른 책이지만 19금은 절대 아니다. 우리가 평소에 접해보지 못한 역사 속 감춰진 진실 또는 귀족들만 누렸던 어떤 은밀한 특권 같은 것들에 대해 많은 정보를 얻을 것을 기대하고 본 책이었지만 솔직히 나의 기대에는 살짝 못미쳤다. 그냥 가구나 유행의 변천으로 본16~18세기 프랑스의 역사서 같다고 할까?
작가는 프랑스에서 유학을 하며 미술과 오브제 아트를 공부한 사람으로 앤틱 가구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단다. 그래서 책의 서술 방식도 남겨진 미술작품을 통해 그당시 생활상을 엿보고 그림 속에 들어있는 다양한 형태의 가구들을 통해 예술과 유행의 변천 과정을 유추한다. 주로 프랑스 왕족과 귀족 중심으로 설명되어 있으며 가구 중에서도 특히 의자의 모양과 형태의 변천에 대한 내용을 자세히 기술하고 있다. 하지만 내가 관심있게 본 것은 의자나 가구의 변천 과정은 아니었고, 오만하고 도도해 보이는 프랑스 귀족들의 생활과 왕족들의 생활사와 역사였다. 루이 14세에서부터 루이 17세..그리고 프랑스 혁명기까지 시대순으로 잘 나와있었다.
기억에 남는 몇가지를 소개하면, 16세기 왕족들의 생활은 우리가 상상하는 것처럼 우아하지 못했다는 거다. 우선 추운 겨울이 되면 성 전체가 꽁꽁 얼어붙었기 때문에 시녀를 포함한 시종, 기사들과 함께 다시말해 남녀 여러명이 모두 섞여 혼숙을 했다는 거다. 공주가 시종 기사들과 함께 자는 모습을 상상해보라.. 영화 속에서 늘 보던 로맨틱한 공주의 환상은 단번에 깨진다. 왕과 왕비가 여행을 할 때면 의사, 약사, 요리사, 시종, 난장이를 포함한 모든 궁정인들이 뒤따랐고 애완동물은 물론이고 목에 자물쇠를 채운 곰, 공작새까지 데리고 다녔단다. 가구들은 물론이고 왕족의 취미생활을 위한 사치품과 귀족들에게 줄 선물, 무도회를 열기 위한 도구들까지..하여간 궁정 전체를 통째로 들고 다녔다 한다.
프랑스에서 특히 향수가 발달했던 이유는 이미 들어서 알고 있으나 새삼 다시 읽으니 정말 웃겼다. 물이란 자체를 몹시 불경하게 생각했기 때문에 목욕이라는 것을 평생 한번도 안하고 죽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고, 태양왕 루이 14세는 평생 20번 정도 목욕을 했다는데, 이마저도 당시 사람들에겐 매우 놀라운 기록이라고... 용모가 하얀 것을 미덕으로 생각했기 때문에 머리부터 발끝까지 백분가루를 뿌렸으며 얼굴에는 두터운 화장을 했는데, 한번 화장을 하면 최소한 일주일 동안 지우지 않고 계속 덧칠만 한다고 한다. 목욕을 안하니 당연히 몸에서는 냄새가 나고 화장을 한 얼굴을 지우지 않고 계속 떡칠을 해대니 그 덧칠한 물질들이 피부와 엉겨붙어 썩는 것은 당연했다. 얼마나 악취가 날까? 진한 향으로 그 악취를 가리고자 향수가 발달할 수 밖에 없었다고...
또한 그당시 사람들이 무엇을 먹고, 어떻게 옷을 입고 어떻게 화장을 하며, 또 어떻게 볼일을 봤는지에 대한 일들이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기존 역사서에서는 알기 어려웠던 일들에 대한 이야기는 정말 흥미로웠다. 또한 후대 사람들이 섣불리 잘못 평가하고 있는 루이 15세의 애첩 마담 풍퐈드루나 비운의 왕비 마리앙투와네트에 대한 이야기들도 그들의 지극히 사적인 관점을 통해 다시 재조명해보니 매우 안타까운 부분이 많았다.
어떻게 보면 역사적으로 가장 화려하게 느껴지는 16~18세기 귀족과 왕족들의 생활은 그들의 화려한 겉모습과는 달리 암울하고 지저분한 구석이 많았다. 현재 절대 권력의 상징인 화려한 베르사유 궁이 그당시 구석구석 지린냄새와 오물로 쌓여있었다는 것은 알게되었고...그 화려함의 극치는 귀족과 왕족들의 겉치례뿐이 아니었을까 하는 씁쓸함도 남는다. 물론 문화나 인식의 관점이라는 것이 시대에 따라 많이 변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현대를 사는 난 미술 작품 속의 화려한 그들의 모습을 통해 다시한번 그당시 생활 모습을 상상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