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강의
랜디 포시.제프리 재슬로 지음, 심은우 옮김 / 살림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음'이란 것을 생각해 본적이 있나? 죽음'이란 것은 어쩌면 우리 일상에 친숙한 것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나와는 당장 관계없는 일이라 생각한다. 건강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렇게 생각한다. 그러나 어느날 갑자기 사형선고가 내려지 듯, 시한부 인생이 주어진다면 어떨까? 아마 대부분 좌절하고 고통스러워하며, 인생 자체를 포기하게 될지도 모른다. 아니 자기 자신 뿐만 아니라 주위 사람들까지도 고통스럽고 힘들게 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난 이 책을 읽으면서 삶의 마지막을 값지고 의미있게 보내는 랜디 포시 교수의 용기에 감탄했다. 그도 물론 자신의 병이 힘들고 고통스럽게 느꼈겠지만 그는 그 자신보다 남겨진 사람들이 힘들지 않도록, 희망을 잃지 않도록 배려하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들을 항상 사랑하고 있음을 느끼게 하고 알려주었다. 책 곳곳에서 느껴지는 그의 아이들을 향한 사랑은 눈물겹도록 마음이 저렸다. 그의 남겨진 아이들을 위해 그리고 그의 학생들, 일반인들을 위해 그는 그가 살아온 것, 그가 가치있다고 생각되는 것들에 대해 마지막 강의를 한다. 삶을 어떻게 정리해야 하느냐가 아니라 앞으로 어떤 삶을 살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것이 어떤 거창한 지침이나 구구절절한 행동 양식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에서 가까운 가족이나 연인, 친구를 통해 얻을 수 있음을 깨달게 한다.

그의 일상을 보며, 죽음을 앞둔 이도 저렇게 낙천적이고 적극적으로 살고자 노력하는데, 사소한 일에도 짜증에 불평 불만으로 가득 찬 내 자신이 부끄러워졌다. 그리고 아무생각 없이 너무 헛되이 시간을 막 보내고 있는 건 아닌지 후회되었다. 시간이 빨리가는 것만 아쉬워했지 뭘 해야되겠다고 생각은 안하니 말이다. 내가 처한 현실과 어려움은 그저 배부른 투정에 불과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의 아쉽고 짧은 삶... 그의 인생이 너무나 안타까워 목이메였다.

아이들과 함께 밝게 웃는 그의 모습을 보고 눈물이 나서 한참 동안을 멍하니 앉아 있었다. 마지막 강의날 아내의 생일, 다같이 생일축하 노래를 부르고 끌어안고 키스를 나누며 아내 제이가 '제말 죽지말아요...'라고 말한 장면에서는 정말 울컥했다. 어째서 신은 이렇게 자상한 남편이자 아빠 그리고 훌륭한 대학교수를 그렇게 빨리 데려가는 건지.. 너무 슬폈다.

동영상 강의도 찾아서 봤다. 너무 건강한 모습으로 웃으며 팔굽혀 펴기를 하는 모습은 6개월 뒤에 죽을 사람이라고는 믿겨지지 않았다. 다시한번 그의 끝까지 최선을 다하는 삶에 경의를 표한다. 그리고 그의 모습이 훗날 그의 아이들에게 그리고 학생들에게 오래오래 기억되길 바란다. 자상한 아버지의 모습으로 그리고 훌륭한 교수님의 모습으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