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앞의 생 (특별판)
에밀 아자르 지음, 용경식 옮김 / 문학동네 / 2003년 5월
평점 :
품절


자기 앞의 生이라...매우 거창한 것 같으면서도 모호하다. 하지만 열네살 꼬마 모모는 어린 시절 여러 가지 일을 겪으면서 생의 의미를 자연스럽게 깨달아 가는 것 같다. 어리면서도 성숙한 그리고 장난스러우면서도 속깊은 모모를 떠올리며 내가 인연을 맺고 있는 여러 사람들과의 관계 그리고 그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나의 인생의 의미에 대해 잠시 생각해 보게 했다. 그리고 책장을 덮은 후에 남는 강렬한 감동은 하루가 지난 아직까지도 가슴을 두근거리게 한다. 좋은 책을 읽은 후에 떠올리는 이런 감정은 내 生에 자극을 주고 조금 더 감성적으로 이끌어 주는 데 도움이 되는 것 같다. ㅎㅎ

창녀인 어머니에게 버림받은 14살 아랍 소년 모모...장난치는 것을 좋아하고 호기심이 많고 길거리를 배회하며 가끔 남의 물건도 슬쩍하기도 하지만 어린아이를 잘 돌보고 마음 씀씀이가 착한 소년이다. 자신이 10살이라 믿고 있는 모모는 학교에서는 너무 조숙하다는 이유로 받아주지 않았고 친구 아르튀르(우산)을 벗삼아 길거리를 배회하기도 한다. 이 어린 소년이 믿고 의지하는 이는 창녀들에게서 버림받은 아이들을 맡아 키우는 로자 아줌마로, 로자는 유태인이라는 이유로 아우슈비츠에 강제 수용된 끔찍한 기억을 갖고 있다. 모모 주위에는 룰라 아줌마와 하밀 할아버지 등 여러 사람이 있다. 룰라는 흑인 동성애자고 하밀 할아버지는 노화로 기억을 점점 상실해간다. 하지만 그들은 서로 돕고 의지하며 살아간다. 부모에게 버림받은 아이들을 힘겹게 맡아 기르는 로자 아줌마, 몸을 팔아 얻은 돈을 아낌없이 모모에게 베풀며 어려운 일이 있을 때마다 바로 찾아와서 돌봐주는 롤라...그리고 빅토르 위고의 책을 항상 곁에 끼고 다니며 인생에 있어서 좋은 지식과 도움을 주는 하밀 할아버지 등...이들의 마음 씀씀이와 生은 아름답기도 하다.

하지만 모모 주위의 사람들의 生은 그렇게 평탄치 않다. 창녀가 아이를 낳아 키울 수 없는 현실에서 자신과 같이 많은 아이들이 버려졌으며, 창녀의 자식은 정신질환이 있다는 사회의 모진 고정관념, 유태인이란 이유 하나만으로 학대 받았던 로자 아줌마 등의 삶을 통해 모모는 인간의 生이란 것이 때론 행복하고 때론 풍요로울 수 있지만 사회적 편견이나 인종 종교의 문제 등 여러 가지 요건에 의해 불행하고 비참해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이미 어린 시절에 알아버렸다. 生은 로자 아줌마를 식물인간에 골칫거리로 만들었고, 박학다식하던 하밀 할아버지를 바보로 만들었다. 

병으로 점점 이성을 잃어 똥오줌을 아무대나 싸고 옷을 아무데서나 벗으며, 인간으로서 온갖 추한 모습으로 죽어가는 로자 아줌마를 보며 모모는 그녀의 生이 그렇게 끝나는 것을 바라지 않았다. 그런 추하고 쓸모없는 생을 병원에서 억지로 늘려 살게하고 싶지 않았다. 모모는 그녀가 살아생전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겪었던 끔찍한 고통을 피하기 위해 만든 지하의 그녀만의 비밀의 장소에 그녀를 데려가 눕히고 죽은 후의 그녀에게 향수를 뿌리고 화장을 시키는 듯 그렇게 그녀 곁을 오랫동안 떠나지 못했다. 그녀와 자신만이 아는 둘만의 장소에서 그렇게 그녀의 마지막을 지켰다. 그것은 사랑이었다. 그것이 生이며,살아가는 이유라는 것을 알았다.

모모는 말한다  "내가 이렇게 할아버지를 부른 것은 그를 사랑하고 그의 이름을 아는 사람이 아직 있다는 것, 그리고 그에게 그런 이름이 있다는 것을 상기시켜주기 위해서 였다." 고... 결국 生은 사랑해야 한다는 것이다. 모모는 로자 아줌마를 사랑했으며 하밀 할아버지, 룰라 아줌마 모두를 사랑했다. 그리고 그의 친구 아르튀드(우산)도 사랑했으며 무엇보다 그런 주위 사람들과 함께 한 자신의 삶을 사랑했다. 

로자 아줌마의 죽음은 슬픈 일이지만 사랑했던 아름다운 기억은 모모의 生에 있어서 값진 등불이 될 것이다. 부모보다 더 많은 사랑을 주었고  모모를 잃고 싶지 않아 4살씩이나 나이를 속여가며 그를 곁에 두고 싶었던 로자 아줌마 또한 모모가 그녀의 삶 마지막까지 지켜주어서 행복했으리라..

마지막 작가의 끝맺음 "사랑해야 한다"
이것이 生이 주는 의미이다. 生이란 때론 힘겹고 고통스럽지만 '사랑'이란 감정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가치가 있는 것이다.
생이 결코 만만치 않으리란 것을 알고 있지만 그래도 한번 살아볼 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을...그리고 기왕 한번 사는 生 더욱 열정을 가지고 부딪쳐 볼만하다는 것을 새삼 느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