뼛속까지 자유롭고 치맛속까지 정치적인 - 프랑스 남자와 결혼하지 않고 살아가기
목수정 글, 희완 트호뫼흐 사진 / 레디앙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뼛속까지 자유롭고 치맛속까지 정치적"이 뭘까...그리고 프랑스 남자와 결혼하지 않고 살아가기? 
이 하나의 제목만으로 나의 시선을 끌기에 충분할 만큼 자극적이었다. 게다가 프랑스에서 비혼으로 낳은 아이를 안고 있는 표지의 그녀의 모습에서 규범과 관습에서 탈피하여 자유롭게 살아가는 모습이 느껴진다. 이 사진 하나만으로도 우리 사회에 대한 당당한 도전이다. 시대와 사회가 변하여 싱글맘이란 신조어가 생기고, 결혼을 하지 않고 아이를 낳아 키우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지만 아직까지 우리 사회에서 그들을 바라보는 시선은 그다지 관대하지만은 않다.

"우리가 갖는 두려움의 실체는 결국 타인의 판단과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다. 모든 판단과 평가가 내 안에만 있다면, 두려움 따윈 정복하고 살 수 있다." <p.309>

IMF의 경제적 위기와 개인적인 절망에서 탈출하고자 망설임없이 떠난 프랑스에서 자유로운 예술가와 사랑에 빠지고, 그의 아이를 낳아 키우며 자기 생활에 확신을 가진 그녀는 이렇게 말한다. '불만을 터트리고 욕망을 충족시키는 것이 건강한 삶이라고..단, 그 욕망은 자신의 욕망인지 남들이 그렇게 되길 바라는 욕망인지 가늠해 봐야한다고...'

자기 마음 내키는 대로 사는 것은 누구나의 바램일 것이다. 하지만 그 바램들이 남들의 시선을 의식하게 되고 '이렇게 내가 살아도 남들이 날 괜찮게 생각할까?'라는 의식을 하게 된다면 그것이 진정한 행복이 될까 싶다. 그런 불안한 감정들이 마음내키는 대로 자유롭게 살고 싶은 내 마음 속 생각과 충돌한다면 그것이 진정한 행복이겠느냔 말이다. 더군다나 아직 가부장적 가치관이나 유교의 관습들이 세상 깊숙이 뿌리박혀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에서는 더군다나 여성이라면 더욱더 자유의지가 구속되게 마련이다. 그녀가 프랑스로 떠난 것은 단순히 국경을 넘어간 것이 아니라 이런 규범이나 가부장적인 가치관에서의 떠남이었다.

나는 사회생활에 익숙해지다보니 꼭 결혼을 해야겠다는 필요성도 못느끼겠고 지금 생활에 100퍼센트 만족하는 것은 아니지만 결혼을 하면 행복해질까라는 확신도 없다. 그리고 혹여 결혼을 하게 되더라도 아이르 낳아 키우는 내모습은 도저히 상상할 수 없다. 그래서 결혼도 안하고 아이만 낳아 키우는 사람들의 심정을 잘 이해하지 못한다. 하지만 그녀의 이야기를 듣게 되면 그들의 문화적 예술적 공감대와 자유로운 사랑의 감정이 느껴졌고 자신감에 충만한 삶과 확신이 느껴졌다. 그렇기에 이렇게 그녀 자신의 삶과 규범의 탈피..그리고 그 경계를 넘어선 삶의 아름다움을 이렇게 당당하게 세상 밖으로 표출할 수 있지 않았나 싶다. 

그녀는 단순히 프랑스 남자와 결혼하지 않고 살아가는 그녀의 이야기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자기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사회적 가치관이나 제약 때문에 그것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이다. 가부장적 중심 사회에서 여성으로서의 어떤 고정관념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신념대로 주체적으로 살아가겠다는 것이다. 그리고 진정한 진보란 어떤 커다란 개혁을 위해 개인의 욕망이나 가치관은 쉽게 희생되거나 포기되어지는 그런 맹목적이고 관념적인 '운동권'이 아니라 생활에서부터 작은 것을 실천하는 일명 '생활좌파'에 대해 이야기한다.

덧붙여서 그녀의 삶 뿐만 아니라 민주당노동당 문화담당 정책연구원으로서 문화와 예술이 많이 발전한 프랑스 사회와 우리나라 현실의 한계점을 비교하여 분석하고 우리에게 부족한 자유롭고 창조하는 정신을 독려하는 교육과 문화 정책...사회 제도까지 개선의 바람을 촉구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나라 사회를 살아가는 나라는 존재에 대해 생각해봤다. 나또한 가부장적 가치관에 익숙해진 어쩔 수 없는 한국여성으로 그녀의 거침없는 진보적인 생각과 가치관에 감탄과 놀라움의 박수를 보낼 수 있을지언정 내 삶 자체에서의 실질적인 행동의 촉구나 생각의 방향을 빠르게 전환할 수 있을지에 대해선 잘 모르겠다. 단지 내가 진정으로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내 자신이 주체가 되어 진정으로 하루하루를 살아간다면 더 나은 내일과 나 발전된 나의 미래가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해본다. 어쨌거나 조금 막연하기도 하다. 내 생활의 하루하루를 조금씩 개선해 나가는 '생활좌파'가 되어야 겠다는 생각이다. 목수정' 그녀의 용기와 당당함이 다시한번 부럽게 느껴진다.

"나는 젊게 사는 방법을 안다. 그건 오래도록 철들지 않으면 된다. 그럼 남들한테 철들라고 잔소리 할 일도 없고, 도리어 세살 짜리 아이한테 종종 잔소리를 든는 호사를 누리며 살 수 있다. 영원히 젊게.."  <p.9>

남들의 눈이 휘둘리지 않고 자유롭게 자신이 주체가 되어 삶을 살아가겠다는 그녀의 당당함에 박수를 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