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적 유전자 - 30주년 기념판
리처드 도킨스 지음, 홍영남 옮김 / 을유문화사 / 200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전에 한참 이슈가 되었던 황우석 박사 이야기와 함께 유전학’이란 분야는 나에게 있어 많은 관심거리였다.그런 관심으로 읽기 시작한 이 책은 나의 예상과는 조금 다른 관점이었고 정말 어렵게 다 읽긴 했지만 과연 이 이론의 3분의 1이나 이해했는지 모를 정도로 매우 전문적인 책이었다. 이 책은 기본적으로 진화론의 중요성을 추구하며, 그 기본 단위는 우리가 소위 생각하는 개체나 종, 그룹의 단위가 아닌 유전자라는 것을 강조한다. 맹목적으로 다위니즘을 옹호하는 책은 아니지만, 다윈의 <종의 기원>이라는 학설을 전혀 접해보지 못한 상태에서 도킨스 박사의 이 이론을 이해한다는 자체가 처음부터 무리였는지 모르겠다. 똑같은 페이지를 몇번을 반복해서 읽어도 도통 이해할 수 없는 내용들도 있었고...독자의 대부분이 비전공자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결코 쉽게 읽혀질 책은 아닌 듯 싶다.

이 책은 유전공학적 학설을 정공으로 다룬 것은 아니며(그렇게 예상했지만), 진화나 생태의 관련을 동물행동학적으로 접근하여 연구하고 유전공학적으로 추론해가는 학설이다. 물론 염색체라든가 DNA, 세포분열 등의 기본적인 이론을 포함하고 있지만 이 책은 조금 더 확장된 내용이다.

리처드 도킨스 박사의 <이기적 유전자>라는 이 이론은 30년전에 이미 완성된 이론이라 한다. 그동안 과학이 계속 발달하여 이론에 있어서 많은 변화나 수정이 되었을 것이라 생각했지만..그 30년 전의 거의 완벽에 가까운 타당한 논리로 현재까지 거의 수정없이 하나의 이론으로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이 책이 주장하는 바는 ’사람을 비롯한 모든 동물이 유전자에 의해 창조된 기계에 불과하다는 것’ 이다. 즉, 고대 원시스프에서 생성된  자기 복제자들은 생명체에 존재하면서 우리의 몸과 마음을 만들고 조정하며, 결국 이 유전자를 후대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케 한다.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해 결국 유전자는 이기적일 수 밖에 없으며 이기적이여만 살아남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인간이든 동물이든 결국 이기적일수 밖에 없으며, 우리가 흔히 겉으로 보기에 남을 위한 듯한 행동도 결국을 이기적인 본성에서 나온 것이라는 거다. 이 이론을 뒷받침하기 위해 다양한 동물의 행동학적 분석과 생태를 예로 들어 보여준다.  톰슨가젤의 높이뛰기 위장은 포식자의 주위를 끌게되어 그룹에 대한 이타적인 행동처럼 보이지만 그것은 포식자를 향한 행동으로 나보다 높이 뛰지 못하는 다른 개체를 선택하게끔 유도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또한, 이 이기성의 근본을 혈연관계로도 설명하고 있으며, 즉 부모 자식간에도 유전적 개체의 계승을 위해 생존 가능성이 높은 개체를 판단하여 더 애정을 쏟고 있으며, 암수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수컷은 암컷을 상대로 착취하면서 자신이 투자한 50% 이상 유전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해 전략적으로 움직인다는 것이다. 그것은 암컷도 마찬가지다. 좀더 성적매력이 풍부한 수컷을 고름으로써.. 후대 자식 또한 다른 암컷에게 잘 보이게하여 유전적 번식을 확장시킨다는 것이다. 즉, 좋은 유전자를 계속 계승시키기 위함이다. 이밖에도 다양한 생물의 근성과 행동을 분석하여 유전자의 이기성’에 대한 근거를 이야기 한다.

또 유전자 자체를 신체 내부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 밖으로 확장시켜 ’밈(meme)’이라는 새로운 언어를 도입하는데, 이것은 모방의 과정을 통해 이동되는 언어나 문화도 유전자와 같이 빠르게 진화된다는 것이다. 즉, 뇌에서 뇌로 퍼지는 자기복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면서 이와 같은 말을 덧붙인다." 우리는 유전자 기계로서 조립되었지만 밈 기계로서 교화되어 있다. 이 지구에서는 우리 인간만이 유일하게 이기적인 자기 복제자들의 전제에 반항할 수 있는 것이다." 라며..인간이란 존재의 특이성에 대해 조금은 양보하는 입장을 보였다.


이 세상에 ’인간’이란 존재가 어떻게 만들어져 나타나게 된 것일까를 한번쯤 생각해 본적이 있다. 창조론이든 진화론이든 생물체의 발현과 발달 현상에 있어서 아직까지도 많은 논란이 있는 것으로 안다. 조금은 실증적이고 과학적인 것을 추구하는 나는 <진화론>의 근거를 지지하지만 말이다. 하여간 이 분야는 나에게 있어 많이 생소하고 어려운 분야임에 틀림없다. 이 책을 통해 내가 진정으로 얻고자 했던 진실은 더욱 모호해졌다. 다만 한가지, 리처드 도킨스란 과학자에 대해 알게 된 것과..조금은 이 분야에 대해 관심이 더 생겼다는 것??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