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세번쯤 읽은 것 같다. 아마 더 읽었을지도 모른다. 처음 읽었을 때는 너무 어릴 때라 이 책의 내용을 거의 이해하지 못했다. 그리고 10년전 쯤 또 읽었던 것 같은데 데미안과 주인공 싱클레어에 대한 어렴풋한 느낌만 남을 뿐 책의 자세한 줄거리까지는 잘 기억나지 않았다. 나의 기억과 사고는 단편적이다. 내가 책을 읽고 이렇게 조금이나마 생각을 정리하는 이유는 그 기억을 더 오래 간직하고 싶어서이다. 학생 때 책을 많이 읽는 선배가 나에게 책을 빌려주면서 하는 말이 ’한줄이라도 좋으니 책을 읽고난 감상을 써서 달라는 것’이었다. 그 이유를 난 이미 잘 알고 있다. 주인공 싱클레어는 어릴 때 나와 많이 닯아 있다. 아니 보통의 청소년들이라면 비슷한 생각이나 일을 격었음직한 매우 평범한 소년이다. 사춘기 시절 흔히 겪는 생각과 고뇌...그리고 성(性)에 대한 감정 등... 크로머란 친구에게 당하는 괴롭힘은 최초로 어두운 세계의 고통스러운 체험이었고 어릴 때부터 명확하게 ’선과 악’을 구분지어 사고하던 그에게 있어서 그 행복에 그어지는 균열이었다. 이 갈등의 시기에 만난 사람이 바로 <데미안>이다. 데미안을 통해 아직 정리되지 않은 자신의 정신세계와 자아를 찾기 위한 일에 끊임없이 몰두한다. 데미안은 주인공 싱클레어의 의식을 확장시켜 주고 생각의 지평을 넓혀주는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한다. 하지만 어떤 틀을 깨고 나오려면 그만큼의 피나는 노력과 고뇌가 있어야 하고 결국 그 선택은 누구도 대신해 줄 수 없는 자기 자신일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싱클레어의 고뇌와 갈등을 통해 우리는 느낄 수 있다. 데미안을 읽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 말을 기억할 것이다.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 알은 세계이다.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깨트려야 한다. 새는 신에게로 날아간다. 신의 이름은 압락사스>어렵게 깨고 나온 진보를 통해 주인공 싱클레어는 자신의 모습이 데미안 그와 많이 닮아 있음을 느끼며 이 소설은 끝이 난다. 알을 깨고나와 투쟁한다는 것’ 그것은 어떤 의미일까? 이 책은 <한 사람 한 사람의 삶은 자기 자신에게로 이르는 길> 이라는 자아의 삶을 추구하는 이야기이다. 그 "자기 자신에게로 이르는 길" 의 첫번째 단계가 바로 기존 규범으로부터의 떠남이라고 말한다. 즉 자기 자신의 갇혀 있는 인식의 틀에서 탈피해야 조금 더 넓은 세상과 조금 더 발전된 자아를 만날 수 있는 것이다. 데미안은 어쩌면 그 규범을 탈피하기 위한 내 속의 또 다른 자아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선과 악’이란 것들도 인식의 차이에 있어서 다르게 해석될 수도 있다. 데미안은 ’카인’에 대해 일반적인 우리들의 견해와 전혀 다른 시각을 갖고 있다. 누가 옳고 또 누가 그르다고 섣불리 판단하기에 앞서 어떤 인식의 고정관념에 얽매여 있는 한 우린 그 편협한 틀 속에서 벗어날 수 없으며 그 세계에 고정될 수 밖에 없다. 물론 하나의 벽을 깨고 나오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닐 것이며, 그 벽을 깨고 나오면 그것이 끝이 아니라 또 다른 벽이 존재할 것임을 안다. 그런 벽을 깨는 과정이 바로 인생이며, 그런 과정을 통해 노력하는 자만이 진정한 자아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리 두껍지 않은 소설이었지만 그속에 담긴 철학적 의미가 결코 쉽지 않았기에 세번을 읽고 난 지금도 확실히 그 내용을 이해했다고 생각되지 않는다. 싱클레어가 말했던 ’ 내 친구이자 나의 인도자인 그, 데미안’ ... 내 속에 또다른 조력자 나의 데미안을 만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