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실 - 2005년 제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김별아 지음 / 문이당 / 2005년 2월
평점 :
절판


미실은 <화랑세기>에 기록된 역사적 인물로 6세기 후반 신라사회을 뒤흔들어 놓았던 여인이다. 이 책을 처음 읽었을 때 신라의 복잡하고 파격적인 성문화에 정신을 차릴수가 없었고..책앞에 가계도가 나와있긴 하지만 내손으로 다시 그려가면서 이해를 해야했다.(그래도 워낙 복잡하게 얽혀서 정신이 없다.) 그도 그럴것이 진흥왕, 진지왕, 진평왕까지 할아버지에서 손자에 이른 3대에 걸쳐 관계를 맺고 그들 사이에서 각각 태어난 자손들 사이의 근친혼 등등.. 즉, 다시 쉽게 얘기하면 미실은 왕과 그 일족의 부인을 공급하는 대원신통(大元神通)의 딸로 태어나 3대의 왕을 色으로 섬긴다.

원래 지소황후와 태종 사이에서 태어난 세종전군의 부인으로 들어가게 되어 하종을 낳지만 색공지신(色供之臣)으로 세종전군의 형인 진흥왕을 섬긴다. 그러나 이미 그때 진흥왕의 아들인 동륜태자의 아이(애송공주)를 임신한 상태였고, 그 상태로 진흥왕과 관계하여 이후 <반야공주, 난야공주,수종태자>를 낳는다. 또 그 이후  다시 남편인 세종전군의 아이 옥종을 낳고...동륜태자가 죽은 후 진흥왕의 또 다른 아들인 금륜(진지왕)과 관계하고... 나중에는 동륜태자의 아들인 진흥왕의 손자 진평왕까지 관계한다. 또 미실의 동생인 미생과 그 사이 다른 수많은 남자들과 사이사이 관계를 맺었고 그 중에는 그 유명한 사다함과 설원랑이 있다. 계속되는 근친혼 뿐만아니라 황후가 다른 남자와 관계하여 낳은 자식까지 왕족의 일원으로 받아들인다.

 이 책과 신라의 역사를 이해함에 있어서 색공지신(色供之臣)과 대원신통(大元神通)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미실은 色供之臣의로서의 의무로 세 왕을 섬겼으며 사사로이 남편으로서의 세종전군이나 그밖의 사다함 같은 다른 남성들과 주체적으로 관계를 맺었다. 왕후가 사사로이 애인을 갖는 것이 결코 이상하거나 도덕적으로 비난받지 않는 사회였고..그 자체로 신라의 사회를 이해하면 된다. 물론 한 여인이 3대에 걸친 왕들과 관계를 맺는다거나 그밖에 여러 근친혼과 관계들을 나도 납득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그 본질을 이해할 수 없다면 <화랑세기>나 이 책 자체가 추잡하고 더러운 野史로 생각될 수 밖에 없고 ..오랫동안 그렇게 생각해 왔던 우리 사회가 <화랑세기>를 인정하지 않았던 이유도 여기에 있을 것이다.

 물론 <화랑세기>나 고대 신라 사회를 현대의 잣대로 평가하고자 하는 것은 정말 무리임을 알고 있다. 중세 성리학과 유교의 근본적인 가르침은 현대 사회가 아무래 변했다고는 하나 지금까지 일부는 이어져오고 있고,그런 의미에서 고대 신라의 성문화는 난잡하게 생각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고대 신라 사회는 성리학이나 유교가 정착되기 훨씬 이전의 사실이며, 고대 신화에서 자주 등장하 듯이 근친혼이라는 것이 그다지 생소한 것이 아니며, 왕족이나 골품제의 혈통을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했던 사회에서는 당연하게 생각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즉, <화랑세기>라는 것이 그런 의미에서 혈통으로 엮어진 모계신화이며, 그 중심에 바로 미실이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같다. 미실은 색(色)으로 다져진 바탕으로 한때 신라 전성기 시대의 최고권력을 누렸으며 오늘날까지도 아름답고 치명적인 여성의 주체로 평가된다.

 <화랑세기>자체를 어디까지 믿어야하며 사실 미실’이란 인물이 정말로 실존해있었느냐에 대한 의문도 있다. 또한 여성이 색공(色供)으로 권력을 장악하고 시대를 평정했다는 것이 오늘날의 잣대로는 결코 고운 시선으로 보아지지 않는다는 것도 사실이다. 그래서 미실’이란 인물 자체가 ’팜므파탈’의 전형인 듯 평가되고 있다는 조금 부정적인 현실이 거북하기도 하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한때 이와 같은 역사가 우리나라에 존재했으며, 그런 능동적이고 진취적인..남성의 권력에 굴복하지 않고 성(性)적으로도 강한 주체성을 가지고 좋아하는 남성을 스스로 선택하여 관계할 수 있는 여성이 그시대에 있었다는 것이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다소 보수적인 경향을 가진 나로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았지만 내가 잘 알지 못했던 고대 신라사회의 정치와 사회 그리고 화랑과 골품제에 대해 아주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었다는 것에 대해 기쁘게 생각한다.

 ps 이 책속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인물은 짧지만 강렬한 인상을 남긴 화랑 <사다함>이다. 미실과의 사랑을 이루지 못하고 어린나이에 역사 속으로 사라져간 안타까운 인물...미실이 정말로 사랑했던 단 한사람은 사다함이란 말도 있다. <화랑세기>나 다른 문헌을 통해 사다함에 대한 자료를 더 찾아보고 싶다.

--------------------------------------------------------------------------------------

* 大元神通 : 왕과 그 일족에게 색공했던 혈통
* 色供之臣 : 세대 계승을 위해 왕이나 왕족을 색(色事)으로 섬기던 신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