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매드 사이언스 북 - 엉뚱하고 기발한 과학실험 111
레토 슈나이더 지음, 이정모 옮김 / 뿌리와이파리 / 2008년 10월
평점 :
어릴 때부터 과학에 관심이 많았던 나는 여러 가지 종류의 과학잡지와 과학서를 읽었다. 문학책보다 과학 잡지를 보는게 더 즐거운 경우도 있다.
솔직히 어떤 현상이나 발견에 대해 그 이론이나 학술을 그대로 이해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그것이 나의 전공분야와 비슷한 종류의 것이라고 해도 솔직히 어렵다. 과학이란 분야는 워낙 세분되어있고 그 분야의 전문가가 아닌 이상 어떤 특정한 이론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그리고 과학 이론 자체가 쉽지는 않으니깐 말이다.
하지만 쉽지 않다는 것과 그래서 재미없다는 것과는 적어도 나에게 있어서는 별개의 문제이다. 빤닥빤닥한 종이 위해 큼직큼직하게 새겨진 사진이나 그림 위주의 과학을 시각적으로 받아들이는 것 자체가 즐거운 일이고 그 현상에 대해 이해를 하든 못하든 "음 그렇군" 하고 지나가면 되니 말이다. 그래서 과학 잡지를 읽고 나서 감상이라든지 읽고 난 후의 서평이라든지에 대해선 그다지 할말이 많지 않다. " 음 그렇군 ! 그런게 있었군!" 요 한마디면 끝인 것이다..ㅎㅎ
과학을 이해함에 있어 ’어떤 개체나 발견이 이루어졌더란다..’라는 사실을 아는 것만으로도 대단한 것이다. 과학을 공부하는 데 있어서 조금은 소극적인 태도 같이 보이지만 그런 부분부분들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 보는 것만으로도 과학에 유익하다는 생각이다. 단지, 한가지만 덧붙인다면 "왜 그럴까?" "왜 그렇게 되지?"라는 호기심과 상상력 정도는 한번쯤 해보는 것이 좋겠다.
매드 사이언스북은 과학을 좋아하는 나에게 매우 흥미로운 책이었다. 이 책은 1300년대 초기부터 2000년대 이르기까지 여러 과학자들의 기발하고 다양한 실험과 연구가 소개되어 있다. 번역자는 "이 책은 과학자들의 미친 실험으로 가득 찬 미친책이다"라고 서평에서 밝혔지만 내가 생각하기에 미친짓은 몇가지 빼곤 거의 없었다. 모두 과학자들의 열정과 자기 희생의 노력이었으며 창의적인 상상력과 용기있는 도전이었다. 황열병의 전염성을 증명하기 위해 환자의 토사물을 직접 먹거나 몸속에 주사한 스터빈스 퍼스 박사, 맘바 독의 활동에 관한 임상적인 관찰을 위해 직접 뱀독을 스스로 자기 몸속에 주사한 아이겐베르거 박사, 그리고 우리에게 잘 알려진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을 발견했던 배리 마셜박사도 직접 엄청난 양의 박테리아를 자기 몸속에 투여하여 관찰했다. 정상적인 사람들에겐 이들이 미쳤다고 생각하겠지만 그들의 몸을 아끼지 않는 희생적인 연구 결과 현재 의학의 발전을 가져왔다.
절대적 시간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빨리 움직이는 사람에게는 시간이 천천히 간다’는 일종의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을 증명하기 위해 정밀한 원자 시계를 가지고 비행기를 타고 세계를 정신없이 왔다갔다 움직인 실험(물론 일상생활에서 상대성 이론을 증명하기란 어렵다. 빛의 속도보다 빠르게 움직인다면 모를까..) 정신병원에서 같은 자의식을 갖는 사람들끼리의 자아 정체성 혼란에 관한 실험, 죄수의 딜레마, 우주에서의 체류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인간의 몸에 작용하는 중력의 최소화하기 위해 1년내내 침대에 누워서만 생활하는 실험, 인간의 생채 리듬이 24시간이 아닌 28..아님 다르게 바뀔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실험, 또 딱정발레의 암수의 머리를 떼어 바꾸어 붙이는 실험 등은 매우 흥미로웠다.
또한 인간의 심리적인 부분에 대한 실험 중에 1달러 경매 실험,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 하룻밤을 같이 보내자는 유혹에 대한 실험도 매우 재밌었다.
그러나 단두대에서 잘린 머리로 전기 실험을 하고 얼마동안 살아있는지 확인해보는 실험, 잘린채 살아있는 개 머리, 강아지의 머리와 다리를 다른 개의 가슴에 이식하는 실험 등은 너무 잔인했다. 또 몇가지 현재 많은 사람들이 잘못 알고 있는 ’인간의 영혼의 무게가 21g’이라든가. ’키스 한번에 4만마리의 병균이 옮는다’라는 것들은 실험을 통해 오류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보편적인 사고방식에서 조금 다르게 생각하는 것들을 우리는 일반적으로 "미쳤다"라고 이야기한다. 과학은 어떻게 보면 앞을 내다보는 학문이다. 현재 존재하는 것이나 누구나 보편적으로 생각하는 원리만 가지고는 도저히 발전할 수 없는 것이다. 우리가 조금이라도 앞서가고 더 나은 미래를 꿈꾸기 위해서는 이런 소위말하는 "미친짓"이 필요할지 모른다. 그런 의미에서 이런 열정을 가지고 도전하는 과학자들이 많았으면 하는 바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