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
우리는 살아가면서 수많은 스트레스에 노출된다. 일과 인간관계, 경제적인 문제, 건강과 미래에 대한 불안까지…. 마치 쉴 틈 없이 밀려드는 파도처럼 스트레스는 우리를 휘감고 흔든다.
니체는 인생에 관한 강렬한 명언들을 많이 남겼지만, 정작 ‘스트레스’를 직접적으로 다룬 적은 없다. 하지만 그의 삶 자체가 스트레스 그 자체였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니체는 어린 시절부터 깊은 상실을 경험했다. 아버지와 여동생, 남동생을 일찍 떠나보내야 했고, 이후에도 평생을 질병과 고통 속에서 살아야 했다. 시야는 늘 흐릿했고, 두통과 구토, 설사로 며칠씩 쓰러지곤 했으며, 눈부심은 참을 수 없는 통증을 불러왔다. 결국 그는 스스로를 “8분의 7은 맹인”이라 표현할 정도였다.
그런데도 니체는 쓰러지지 않았다. 그는 고통을 부정하거나 회피하지 않았다. 오히려 고통을 정면으로 바라보며, 그것을 자기 철학의 뿌리로 삼았다. 그렇기에 그의 문장은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실제로 고통을 견뎌낸 사람의 살아 있는 언어로 다가온다.
니체가 우리에게 전해주는 메시지는 단순하다.
“자신의 존재에 대한 불만을 버리고, 더 잘 기뻐하는 법을 배워라.”
그는 삶의 역경을 하나의 강장제로 바라보라고 말한다. 무거운 돌멩이가 우리를 짓누르지만, 그것을 짐이 아닌 ‘단련의 도구’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필연적으로 닥치는 고통을 아름답게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현대인들은 늘 비교와 평가 속에서 살고 있다. SNS 속 남의 삶을 보며 스스로를 깎아내리고, 타인의 평가에 지나치게 귀 기울이며 흔들린다. 니체의 철학은 바로 이 지점에서 강력한 울림을 준다.
이 책에서 특히 인상 깊었던 부분은 <7장 평판으로부터 자유로워져라>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