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받는 사람들을 위한 쇼펜하우어 열다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지음, 우르줄라 미헬스 벤츠 엮음, 홍성광 옮김 / 열림원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이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

어렸을 때 사람들에게 명랑하다는 말을 자주 들었다.

그때는 그 말이 그렇게 중요한 덕목인지, 삶에서 얼마나 귀한 태도인지 잘 몰랐다.

언제부터였을까. 나의 명랑함이 스르륵 자취를 감추고, 대신 무거움과 염려, 그늘진 생각들이 자리를 차지하기 시작한 건.

그런 나에게 쇼펜하우어는 생각보다 따뜻하게 말을 건넨다.

우리가 스트레스 받고, 절망하고, 세상의 무게에 짓눌릴 때조차도 그 고통을 '딛고 일어날 힘'은 밖이 아니라 우리 안에 있다는 것을 일깨워준다.

많은 이들이 쇼펜하우어를 비관주의 철학자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스트레스 받는 사람들을 위한 쇼펜하우어』를 읽으며, 그의 사상이 단순한 비관이나 냉소와는 다르다는 걸 알게 되었다.

그는 고통을 부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삶의 고통을 정확히 바라본다.

그러나 그 관찰 끝에서 그는 외부 탓만 하지 않는다.

우리가 느끼는 스트레스, 불행, 절망, 심지어 죽음에 대한 두려움조차도 치유의 실마리는 자기 자신 안에 있다고 말한다.

현실을 지나치게 미화하지 않기에, 오히려 이 책은 지금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더 깊은 위로가 되어준다. 공감받는 느낌, 그리고 나도 괜찮아질 수 있다는 희망 말이다.

책을 읽다가 특히 마음에 깊이 와닿았던 문장이 있다.

명랑함이 찾아오면 언제라도 문을 활짝 열어줘야 한다.

명랑함이 잘못된 때에 찾아오는 법이란 결코 없기 때문이다.

이 문장을 읽는 순간, 문득 떠올랐다.

내가 언제부터 '명랑한 나'를 잃고 살아왔는지.

명랑함은 가볍거나 단순한 성격이 아니다.

그것은 오랜 자기 훈련과 깊은 사유 끝에 만들어지는 내면의 힘이다.

쇼펜하우어는 명랑함이야말로 인간을 가장 행복하게 만들어주는 성질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것은 의지와 선택의 문제라는 사실도 잊지 않는다.

이 책에 실린 쇼펜하우어의 말들은 단지 철학적인 고찰에 머물지 않는다.

그는 말한다. 세상의 모든 것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인간은 끊임없이 스스로를 훈련시켜야 한다고.

이 말은 단순한 조언이 아니라, 진지한 자기 교육의 권유처럼 느껴진다.

특히 지금처럼 쉽게 자극에 휩쓸리고, 감정이 요동치는 시대에 쇼펜하우어는 '적절한 겸손'과 '명확한 사유'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금 일깨워준다.

이 책을 덮으며 나는 결심했다.

다시 명랑해지기로.

외부 환경에 좌우되지 않고, 삶의 무게 앞에서 흔들릴지언정 무너지지 않는 내 안의 중심을 단단히 다지기로.

쇼펜하우어는 말한다.

삶은 고통스럽지만, 그 고통을 바라보는 마음가짐이 전부라고.

그리고 그 마음을 어떻게 가꿀 것인가는 전적으로 나 자신에게 달려있다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